한경협, '한미 원자력 에너지 협력 포럼' 개최
한미 원자력 협력 확대 방안 제시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한국경제인협회는 9일 한국원자력산업협회와 함께 열린 '한미 원자력 에너지 협력 포럼'에서 양국 원전 협력을 위한 정부 간 공동 테스크포스 구성과 민관 금융지원 모델 활용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번 논의는 지난 8월 한미정상회담과 기업 간 업무협약 체결을 계기로 구체화됐다.
이날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은 개회사에서 "세계가 기후변화와 전력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원자력에 다시 주목하고 있다"며 "우리나라가 원전 건설 기술력과 안정성, 공급망 관리 역량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 |
한경협 전경 [사진=뉴스핌DB] |
국제원자력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난 1995년 이후 지난 30년간 신규 원자로 18기를 건설했다. 이는 같은 기간 미국이 세운 4기보다 약 4.5배 많다. 국제에너지기구 파티 비롤 사무총장은 한국의 '온 타임 온 버짓' 경쟁력을 원전 수출의 강점으로 평가한 바 있다.
미국도 원전 확대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행정명령으로 기존 발전용량 5GW 증설과 함께 2030년까지 대형 원자로 10기 착공을 지시했다. 아울러 2024년 100GW 수준인 발전용량을 2050년까지 400GW로 넓히는 목표도 제시했다.
포럼 발제자로 나선 마이클 현 PSEG 최고사업책임자(CCO)는 "인공지능과 전기화, 데이터센터 확장으로 미국 내 전력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건설과 디지털 기술, 공급망 관리에서 강점을 가진 한국 기업이 미국 원전 프로젝트의 리스크와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용훈 카이스트 교수는 한미 원자력 협력의 실행을 위해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타이틀 17 청정에너지 금융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아울러 양국 정부가 공동 테스크포스를 구성해 금융과 기술 협력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