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
AI 3대 강국 도약·GPU 확보 목표 상향
[서울=뉴스핌] 이경태 기자 =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9일 "2030년까지 민관 협력을 통해 그래픽 처리 장치(GPU) 20만장 확보를 검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배경훈 장관은 이날 오후 5시 서울 명동 르메르디앙 서울명동에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프로젝트 착수식'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 |
[서울=뉴스핌] 이경태 기자 = 과학기술정보토인부는 9일 오후 5시 서울 명동 르메르디앙 서울명동에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프로젝트 착수식'을 열었다. 2025.09.09 biggerthanseoul@newspim.com |
배 장관은 이날 발언에서 GPU 확보를 기존 계획보다 4배 높은 수준의 도전적 목표를 제시했다.
정부는 당초 2030년까지 GPU 5만장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이를 2028년으로 앞당기기로 했다. 하지만 배 장관은 "과기부 내부에서는 더 높은 목표를 수립해야 되지 않는가라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배 장관은 "아직은 계획이고, 정확한 수요 조사나 여러 가지 우리가 얼마까지 확보가 필요한지를 실질적으로 분석해서 구체적인 목표를 세워야겠지만, 이 정도의 도전적인 목표를 수립해야 우리가 진정한 AI 3대 강국으로 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배 장관은 "AI 예산만 전 부처 통틀어서 10조1000억원 정도로 지난해 대비 약 3배에 달하는 숫자"라며 "R&D 예산도 35조 3천억원으로 대폭 늘었다"고 말했다.
배 장관은 "그동안 AI 시장 자체가 활성화되지 않았던 부분이 있었는데, 우리가 그 시장을 민간 협력을 통해서 만들어 가야 한다"며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지속적인 투자도 만들고, 범국가 차원에서 AI 대전환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배 장관은 한국의 독자 AI 모델 개발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대한민국 AI 개발자들이 라마 모델 등을 제키고 우리의 SKT 모델, 네이버 모델, 베이지 모델, 업스테이지 모델을 쓸 수 있는 날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소버린 AI를 넘어서 포용적인 AI로 발전해야 하고 글로벌 수준에서 도전할 수 있는 목표를 가져야 한다"며 "한국 내에서 1, 2등 하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글로벌 톱 1, 2, 3가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배 장관은 "정부에서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며 "국민 모두가 AI를 쉽게 쓸 수 있는 모두의 AI를 구현하고, 우리나라 많은 기업들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