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경쟁입찰 선정기업 간담회 개최
전국 15곳 추진중…1곳 준공·2곳 착공
프로젝트 추진기업 성공적 안착 지원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정부가 해상풍력 보급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복잡한 인허가와 인프라 부족, 금융 조달 등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애로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 4년간 총 15곳 4.1GW 추진… 李정부 가속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는 23일 서울에서 해상풍력 경쟁입찰 선정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국내 해상풍력의 선행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는 2023~2024년 경쟁입찰 선정 사업의 현장 애로를 청취하고,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는 발전공기업 외 민간의 풍력개발이 활성화됨에 따라 지난 2022년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을 도입했으며, 그간 총 4.1GW(15개)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지난 2022년 1곳(96MW 규모)이 준공됐으며, 2023년 1431MW(5개), 2024년 1886MW(5개), 올해는 상반기까지 689MW(4개) 규모의 해상풍력이 추진되고 있다.
![]() |
두산에너빌리티가 국내 풍력 전문 기업들과 손잡고 10MW급 해상풍력 경쟁력을 끌어 올린다. 사진은 두산에너빌리티가 제주 한림읍 인근 해상에 설치한 5.5MW 해상풍력발전기. [사진=두산에너빌리티] |
◆ 해상풍력 인허가 복잡…합리적 규제개선 절실
정부는 소기의 성과를 거뒀지만, 해상풍력 업계는 여전히 군작전성 협의, 공유수면 점·사용허가 등 복잡한 인허가, 인프라 부족, 금융 조달 등 다양한 애로들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의 핵심과제로 해상풍력 보급을 가속화하기 위해 지난 10일 '범정부 해상풍력 보급 가속 TF'를 발족하고 국내 보급 가속화 기반을 조성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이호현 산업부 2차관은 "국내 해상풍력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낙찰사업 4.1GW의 성공적인 정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선행 프로젝트들이 책임 있게 완주하며, 후속 프로젝트들의 이정표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왼쪽 두번째)이 10일 오전 '범정부 해상풍력 보급 가속 TF' 발족식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2025.09.10 dream@newspim.com |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