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이후 주가 침체기, 리튬 90% 폭락
지분 취득 현실화 시 자본 비용에 '숨통'
이벤트 주식에서 실행 스토리 주식으로
비판적인 평가도, "투자 없이 무상 요구"
이 기사는 9월 25일 오후 4시2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시급성을 더하는 점은 미국이 국가안보 위협으로 간주하는 중국이 리튬 정제 능력의 75% 이상을 통제 중이라는 거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세계 1위 생산국인 호주에서 채굴된 리튬 원석마저 대부분 중국으로 수출돼 정제된다. 원석 생산량은 3위이지만 정제 능력에서는 압도적 우위를 보인다.
◆주가 장기 침체기
트럼프 행정부의 지분 취득이 현실화하면 재작년 10월 상장 이후 '침체기'를 겪는 회사 주가에 버팀목이 될 가능성이 있다. 정부가 지분을 쥐는 것 자체가 '쉽게 망하지는 않는다'는 보증의 기대효과를 낸다. 나아가 회사의 재무 상태는 신용위험 하락 효과에 의한 자본비용 하락 덕분에 숨통이 트일 수 있다.
![]() |
리튬 원석 [사진=블룸버그통신] |
LAC 주가가 하루 사이 2배가 됐다고 해도 상장 직후 최고가 대비로는 49% 낮아 반토막 수준이다. 리튬 가격 2022년 정점 대비 폭락한 가운데 고금리 상황이 계속돼 자금이 필요한 회사의 재무 여력에 압박이 가해졌다. 리튬 가격은 2022년 정점 톤당 8만8000달러 대에서 현재 1만달러 선까지 무려 90%가량 폭락했다.
LAC는 생산량이 전무하지만 리튬 시세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자본조달 여건에 직결되기 때문이다. 예로 에너지부의 대출 계약에는 리튬 가격을 기준으로 한 재무 약정이 포함돼 있다. 리튬 가격이 일정 수준 밑으로 떨어지면 추가 대출을 거부하는 거다. 차후 수익화가 된다고 해도 채무 상환이 힘들 수 있는 상황을 상정해서다. 악화한 차입 여건 속에서 수차례의 증자도 주가 압박 요인이었다.
◆"얼마나 빨리"
정부의 지분 취득이 확정되면 LAC는 소위 '이벤트 확인형 주식'에서 '실행 스토리 주식'으로 성격이 바뀔 가능성이 있다. 종전에는 '성공이냐 실패냐'라는 흑백논리의 성격이 강했지만 정부 지분 취득이 현실화하면 '얼마나 빨리 생산하느냐'라는 것으로 초점이 전환될 수 있다. 정부가 규제 허가나 추가 자금 지원 등 행정력을 동원할수록 목표 실현 시점이 앞당겨질 수 있다.
LAC가 실행 스토리 주식으로 전환되면 현재 주가는 일시적 수준이 아닌 하방이 형성된 것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있다. 생산 1~5단계 로드맵의 실현 확률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기 시작할 수 있다. 나아가 GM뿐 아니라 다른 제조사와도 장기 공급 계약이 체결되면 현금흐름이 비교적 예측 가능한 기업으로 재평가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 |
리튬아메리카스 회사 소개 자료 갈무리 [자료=리튬아메리카스] |
모닝스타의 세스 골드스타인 애널리스트는 "정부 지분 참여가 구매 최저가격 보장제를 포함할 수 있어 리튬 가격이 장기간 저조해도 프로젝트의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TD코웬의 애널리스트들은 "태커패스 프로젝트 [1단계] 완공과 단계별 확장에 신뢰성을 더하고 경제성을 개선할 수 있다"고 했다.
◆비판적 평가도
일각에서는 정부의 취득 시도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정부는 사실상 단 한 푼도 추가 투자하지 않으면서 지분 10%를 무상으로 내놓으라는 요구가 되기 때문이다. BMO캐피털마켓츠의 애널리스트는 신주 발행을 통해 무상으로 넘기게 되면 주주 가치 희석이라는 악효과가 더 클 수 있다고 봤다.
이미 안정적인 프로젝트에 정부가 무리하게 개입한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GM이 38%의 지분을 보유 중이고 구매까지 예고한 상황에서 대출 상환 리스크는 낮다는 판단이 따른다. 코마크시큐리티스의 맥 머레이 웨일 애널리스트는 "트럼프 정부는 현재 저평가된 가치와 미래 운영 시점의 잠재 가치 사이에서 차익을 취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지분 취득 추진 소식이 나오기 전 애널리스트 사이에서 형성된 LAC에 대한 투자의견 컨센서스는 중립이었다. 팁랭크스에 따르면 담당 애널리스트 6명 가운데 매수 의견은 2명, 중립 의견은 4명이다. 매도 의견은 존재하지 않았다. 1년 내 실현을 상정한 목표가의 평균값은 3.69달러였다.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