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 후 피해자 보상 절차 돌입, 현금 내지 코인 형태 유력
바이낸스 이사회 의결→금융당국과 논의후 보상 개시
고팍스, 당분간 현 브랜드 유지…명칭·운영 체계 등 변화 전망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국회 국정감사에서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1위인 바이낸스의 국내 시장 재진출이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1400억원 대의 고팍스 피해자는 늦어도 내년 초까지는 보상을 받을 전망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바이낸스는 지분 인수의 조건인 이른바 '고파이 사태' 피해자 보상 절차에 들어갔다. 바이낸스는 곧 이사회의 결의를 통해 피해자 보상을 위한 자본 투입을 결정할 예정이며, 이후 우리 금융당국과 논의해 자금 세탁 등의 문제가 없는 방안을 논의해 자본의 국내 유입을 진행할 예정이다.
![]() |
바이낸스 로고. [사진=블룸버그] |
자본의 국내 유입 이후에는 고팍스 이사회의 결의 이후 피해자들에게 최종 보상이 시작될 예정이다. 보상은 현금 내지 코인의 형태가 될 전망으로 시기는 늦어도 내년 초까지 이뤄질 전망이다. 고팍스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일정 정도 행정적인 시간이 필요하다"며 "그러나 아주 많은 시간이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은 지난 15일 바이낸스의 고팍스 대주주 변경 신고를 수리했다. 이로써 바이낸스가 고팍스를 통해 한국시장에 재진출하는 것이 승인됐다. 고팍스 창업주들이 지분을 넘긴 조건은 하나였다. 고팍스 피해자의 보상을 바이낸스가 변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바이낸스는 아직 보상을 진행하지 않았으며 피해 상환 계획서를 금융당국에 제출하지도 않아 논란이 됐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20일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바이낸스는 고팍스 이용자 피해액을 대신 변제하겠다는 조건으로 지분을 인수한 전형적인 무자본 인수합병"이라며 "그러나 아직 피해액이 전액 상환되지 않았다. 국내 투자자 피해를 방패 삼아 협상하는 듯한 모습"이라고 비판했다.
고파이 사태는 2022년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FTX의 파산으로 촉발됐다. 고팍스는 당시 투자자가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을 예치하면 일정 이율의 이자를 지급하는 '고파이' 상품을 내놓았는데, 운용을 위탁했던 미국 디지털커런시그룹 산하의 제네시스 글로벌 캐피털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2022년 11월 제네시스가 자금을 보관했던 거래소 FTX가 파산하면서 제네시스 역시 지급 불능 상태에 빠졌다.
한편, 고팍스는 바이낸스 인수 후 이사회를 바이낸스 주도로 재편했다. 고팍스는 당분간 고팍스 브랜드와 서비스 명칭을 이어갈 예정이다. 바이낸스와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오더북 공유도 당분간은 고려하지 않는다.
그러나 고팍스는 글로벌 1위 가상자산거래소인 바이낸스의 자본을 통해 본격적으로 가상자산 거래소 경쟁에 뛰어들겠다는 입장이다. 그동안 자본 잠식으로 정상적인 마케팅과 고객 유치 활동이 불가능했던 고팍스는 인력 충원과 서비스를 위한 기술 투자 등을 통해 경쟁에 나설 계획이다.
업계에 따르면 고팍스는 조만간 바이낸스 주도의 경영진을 선임할 예정이며, 장기적으로는 바이낸스의 글로벌 준법 감시 체계와 운영 프로토콜을 도입할 예정이다. 명칭 역시 현재의 고팍스에서 '바이낸스 코리아'로 바꿀 가능성이 크다.
바이낸스와의 오더북 공유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국내와 해외에서 인허가 등을 거쳐 자금세탁방지 의무를 이행하는 사업자와의 공유는 가능하다. 오더북 공유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 아니므로 이를 통해 바이낸스와 고팍스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가능성도 크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