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기술 스타트업 '大폭발기'..헤지펀드 자금도 '넘실'

기사입력 : 2014년01월20일 10:45

최종수정 : 2014년01월20일 11:56

스타트업 광풍 일자리 부족 때문일 수도..단기수익 노리는 헤지펀드 투자 늘어

[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기술 기업들의 기반인 실리콘밸리, 그리고 스타트업(start up) 시장이 과도하게 부풀어오르고 있다는 얘기는 2년여 전부터 나오기 시작했다. 소셜 미디어 붐이 일면서 '소셜 붐'이라고 불리기도 했지만 지금은 소셜 서비스 외 다양한 업종에서 스타트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여기에 여전히 돈이 무더기로 몰리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단기 수익을 목표로 하는 헤지펀드들의 스타트업 투자도 늘고 있는데, 이는 진득하게 스타트업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기업공개(IPO) 이후까지도 지켜볼 수 없는 성질의 자금이라 거품 붕괴를 불러올 뇌관이 될 수 있어 우려되고 있다.

◇ 스타트업 붐 '캄브리아 대폭발'
 
영국 경제 전문지 이코노미스트는 최신호(18일자)에서 기술 스타트업 관련 특집 기사를 다루면서 이를 두고 '캄브리아기 대폭발(Cambrian Explosion)'에 비유했다. 캄브리아기는 약 5억4200만년 전 갑자기 생물체들이 대대적으로 나타났던 때로 그 이유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근래의 스타트업 붐 역시 원인과 배경이 명확하지 않지만 광풍이 불고 있는 것만큼은 확실하다는 면에서 이런 명명이 적확해 보인다.

스타트업 창업이 크게 늘어나면서 생태계가 복잡해졌던 `캄브리아기 대폭발`에 비유되고 있다.(출처=이코노미스트)
실리콘밸리에서만 기술 스타트업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베를린, 런던, 싱가포르, 암만 등 전 세계 도시에서 꽤나 큰 규모의 스타트업 생태계가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들 생태계는 상호 얽혀져 있기도 하다. 

런던의 벤처 캐피탈리스트인 사이먼 레베느는 "코드를 쓸 줄 아는 누구나 기업가가 될 수 있으며, 그건 전 세계 어디서든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일부에선 제2의 닷컴 버블이라 우려하기도 한다. 실리콘밸리의 벤처 캐피탈리스트 마크 안드레센은 "너무 많은 돈이 몰리고 있다"고 했다. 이코노미스트는 그러나 이번 창업의 붐은 1990년대 닷컴 버블이 일 때에 비해 좀 더 견고한 기반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고 평가했다. 캄브리아기 대폭발이 생명체를 이루는 세포라는 기반이 만들어진 뒤 다양하고 복잡한 생명체로 이어졌듯 기술 기업들에게도 디지털 서비스와 제품, 플랫폼이라는 기반이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여기에 경제 및 사회적 변화도 스타트업 붐에 일조했다고 봤다. 2008년 이후 이어진 경제 위기는 1980년대 이후 태어난 밀레니얼들에게 전형적인 직업을 가질 수 없게 만들었고, 이들은 일하기 위해 자신들이 직접 일터를 만드는 창업에 나서거나 참여하게 됐다. 최근 27개 도시에서 18~30세 젊은이들을 조사한 결과 이들의 3분의 2 이상이 기업가가 되는 기회를 엿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단기수익 목적의 헤지펀드 투자 늘어.. 개인 투자자도 증가세

(출처=테크크런치)
벤처 캐피탈 업계의 상황은 조금 변했다. 스타트업을 세우고 벤처 캐피탈의 투자를 받아 성장한 뒤 IPO를 통해 이익을 나누는 과정이야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과거에 비해 자본의 영향력이 약해졌다.

전미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지난 2007년 미국에 627개 있었던 벤처 캐피탈이 2012년엔 512개로 줄었다. 흥미로운 것은 이들 가운데 '마이크로(작은 규모) 펀드'들이 늘었다는 점이다. 1억달러 미만의 자금을 가지고 투자하며 수수료도 적게 바고 그러면서 수익률은 높일 수 있는 벤처 캐피탈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얘기다.

개인 투자자(엔젤)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도 주목되는 현상. 스타트업 자금조달을 주 목적으로 하는 엔젤리스트(AngelList)와 같은 곳이 나타나면서 투자와 수익의 투명성도 높아졌다. 개인 투자자 2만4000명 이상이 모여서 1000개 이상의 스타트업들이 2억5000만달러를 투자받고 있다.

하지만 '위험한 돈'도 더 많이 들어오고 있다. 빨리 '치고 빠지는' 헤지펀드의 출현이 과거보다 빈번하다.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헤지펀드 코트 매니지먼트(Coate Management)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업체 스냅챗이 최근 5000만달러의 자금을 조달할 때 참여했다.

타이거 글로벌, 알티미터, 발리언트 캐피탈 파트너스 등의 헤지펀드도 최근 드롭박스, 에버노트 등 유망 스타트업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다. 헤지펀드 역시 철저한 실사를 통해 투자에 나서고 있다는 점도 과거와 달라졌다.

언제 빠질 지 몰라 위험하긴 해도 스타트업 경영자들은 벤처 캐피탈에 비해 경영에 대한 간섭을 덜 한다는 측면에서 헤지펀드 투자를 선호하기도 한다. 하지만 헤지펀드는 장기 투자자가 아니며 따라서 투자에 대한 책임이나 의무에서 상대적으로 가볍다는 점에서 스타트업에 위험하기도 하다.  

◇ 우울증에 시달리는 스타트업 창업자들

이코노미스트는 스타트업을 창업한 젊은이들이 경영, 자금 압박 등으로 큰 감정적 변화에 시달리거나 하면서 자살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는 점을 지적했다.

많은 창업자들은 지속적으로 자금난에 시달리며 "아침에는 모든 것이 잘 될 것 같다가도 저녁이 되면 모든 것이 나락에 빠져 있는 것처럼 느낀다"는 창업자들도 적지 않다고 전했다. 또 회사 밖으로 나가지 못할 만큼 일에 시달리며 회사 직원들을 가족처럼 여기게 되기 때문에 오래 근무한 직원이나 공동 창업자 등이 회사를 떠나게 되면 이것이 트라우마가 되기도 한다.

이코노미스트는 또 스타트업 업계에서 일이 생활에 우선이 되고 있다는 것이 여성 창업자가 10%도 안된다는 점에서도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장 조사업체 피치북에 따르면 지난해 정보기술(IT)에 투자된 자금의 5%도 안되는 돈이 여성 창업 기업에 들어갔다.

스타트업 창업자의 대부분은 남성, 그것도 백인에 쏠려 있는 게 사실이다. 따라서 문화적인 다양성도 부족하며 이것이 혁신을 제한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 스타트업, 일자리를 늘리나 줄이나

(출처=이코노미스트)
스타트업을 세우는 것은 그렇다면 일자리 창출에는 도움이 되는 것일까.

유잉 매리언 카우프만 재단 조사에 따르면 지난 1990년부터 2011년까지 미국 내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에선 인력이 10% 늘어나는데 1~5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MIT 슬론 경영대학원의 에릭 브린졸프슨 교수는 "스타트업이 빠르게 성장하긴 하지만 이들의 규모가 대대적으로 커지는 일은 거의 없다"고 언급했다. 즉 인력 창출이 극적으로 늘어나는 것은 어렵다는 얘기다.

앤드류 맥아피와 브린졸프슨 교수가 같이 쓴 '제2의 기계 시대(The Second Machine Age)'에선 1880년 창업한 이스트만 코닥이 파산보호를 신청한 뒤 한 달 만에 18개월 밖에 안 된 신생기업 사진 공유 서비스 업체 인스타그램이 페이스북에 10억달러에 팔린 사례를 비교했다. 

인스타그램의 가치는 10억달러나 됐지만 고객수는 1억3000만명, 직원 수는 16명 밖에 안됐다. 그러나 코닥엔 직접 고용된 사람만 14만5000명, 간접 고용된 사람들도 수천명에 달했다.

브린졸프슨 교수는 그러나 "기업의 폭발(스타트업의 폭발적인 증가세)이 실업을 더 늘릴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면서 "스타트업은 기존 산업을 파괴하는 측면이 있지만 자신들의 기업 밖에서 수 많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반을 만들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사진
정당지지율 국민의힘 43.2%·민주 41.4%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설날 전까지 10% 포인트(p) 가까이 차이를 보였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오차 범위 내 접전 양상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세를 타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꺾였고, 떨어지던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회복됐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자동 응답시스템) 조사해 7일 발표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43.2%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1.4%였다. 지난달 22일 발표된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5.3%p 하락한 반면 민주당은 2.6%p 상승하면서 양당 지지율 격차는 9.7%p에서 1.8%p로 줄었다. 조국혁신당은 4.5%로 지난조사보다 0.7%p 상승했고, 개혁신당은 1.5%로 0.2%p 올랐다. 진보당은 0.7%(+0.3%p), '기타다른정당' 2.3%(+0.6%p), '지지정당없음' 5.9%(+4.2%p), '잘모름'은 0.5%(+0.4%p)로 기록됐다. 연령별로 보면 18~30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을, 40~50대는 민주당을 가장 많이 지지했다. 만 18세~29세는 국민의힘 46.3%, 민주당 35.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9%, 진보당 1.2%, 기타다른정당 3.4%, 지지정당없음 3.3%, 잘모름 1.2%였다. 30대는 국민의힘 41.1%, 민주당 39.9%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6%,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7%, 잘모름 0.8%였다. 40대는 민주당이 55.9%, 국민의힘 29.0%, 조국혁신당 5.1%, 개혁신당 0.5%,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7.4%였다. 50대는 민주당 47.0% 국민의힘 35.3%, 조국혁신당 7.2%, 개혁신당 2.3%,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0.4%, 지지정당없음 6.4%였다. 60대는 국민의힘 53.7%, 민주당 35.7%, 조국혁신당 2.8%, 진보당 0.5%,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4%였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6.9%, 민주당 31.6%, 조국혁신당 1.9%, 진보당 1.0%,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8%였다. 국민의힘은 지역별로 서울과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광주·전남·전북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국민의힘 47.2%, 민주당 38.5%, 조국혁신당 1.4%, 개혁신당 0.4%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3%였다. 경기·인천은 국민의힘 43.3%, 민주당 39.7%,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1.5%, 진보당 0.9%, 기타다른정당 3.3%, 지지정당없음 6.0%, 잘모름 1.4%였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3.5%, 국민의힘 36.5%, 조국혁신당 4.5%, 개혁신당 0.8%, 기타다른정당 2.0%, 지지정당없음 2.6%였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59.4%, 국민의힘 33.3%, 조국혁신당 2.4%, 지지정당없음 4.9%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5.2%, 조국혁신당 9.0%, 개혁신당 1.8%, 기타다른정당 1.5%, 지지정당없음 8.1%였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60%, 민주당 28.4%,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2.8%, 통합진보당 1.5%, 기타다른정당 1.7%, 지지정당없음 1.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54.6%, 국민의힘 28.4%, 조국혁신당 6.9%, 개혁신당 3.5%, 기타다른정당 1.0%, 지지정당없음 5.5%였다. 성별로는 남성은 국민의힘 46.0%, 민주당 38.1%,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5%, 진보당 0.8%,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6.7%였다. 여성은 민주당 44.6%, 국민의힘 40.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0.5%, 진보당 0.6%, 기타다른정당 2.5%, 지지정당없음 5.1%, 잘모름 0.9%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체 면회를 가는 등 모습이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일부 중도층도 야권으로 이동하면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상승했다"며 "여론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