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마켓·금융

속보

더보기

[중국 주식] 상업은행 금융개혁 선구자, 최초의 국유은행 '교통은행'

기사입력 : 2020년11월03일 16:52

최종수정 : 2020년11월05일 10:44

창립역사 112년, 6대 국유은행 중 1위
중국 최초로 상장에 성공한 국유은행
수익∙자산건전성∙시총∙밸류에이션 부진
3년 연속 31% 넘는 현금배당률 기록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지난 2018년 중국 금융 시장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할 이정표적 기록이 쓰여졌다. 한 국유은행이 탄생 110주년을 맞이한 것.

그 주인공은 중국 6대 국유은행 중 하나인 교통은행(交通銀行∙BCM)으로, 1949년 신(新)중국(중화인민공화국) 건립에서부터 개혁개방의 40년 역사까지 함께하며 중국 상업은행의 금융개혁에 있어 선도적 역할을 해왔다. 

최근 몇 년간 교통은행은 6대 국유은행들과 비교해 수익성과 시가총액(시총) 등 경쟁력 지표에서 비교적 부진한 성적을 기록해왔다. 다만, 3분기 들어 은행업계 실적이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가운데 교통은행이 영업수익과 자산건전성 측면에서 안정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높은 현금 배당 매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투자 가치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 112년 역사에 빛나는 '최초의 국유은행'

교통은행은 1908년 설립된 중국 최초의 국유은행으로, 112년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한다. 중국 근대 화폐 발행에서부터 역내∙역외 금융, 펀드, 신탁, 금융리스, 보험, 역외증권, 출자전환, 자산관리 등 다양한 금융 영역으로 업무를 확대하며 중국을 대표하는 국유 상업은행으로 자리잡았다.

교통은행은 중국공상은행(中國工商銀行∙ICBC), 중국건설은행(中國建設銀行·CCB), 중국농업은행(中國農業銀行∙ABC), 중국은행(中國銀行∙BOC), 우정저축은행(郵政儲蓄銀行·PSBC)과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6대 국유은행으로 불린다. 베이징(北京)에 본사를 둔 다른 국유은행과 달리 유일하게 상하이(上海)에 본사를 두고 있다.

6대 국유은행 중에서 교통은행은 가장 오랜 창립 역사를 갖고 있다. 창립 시기를 살펴보면 교통은행(1908)>중국은행(1912)>농업은행(1951)>건설은행(1954)>공상은행(1984)>우정저축은행(2007) 순이다.

지난해 교통은행은 미국 경제지 포춘(FORTUNE)이 선정하는 글로벌 500대 기업 순위에서 영업수익 기준으로 전년대비 18단계 상승한 150위를 차지해 11년 연속 해당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아울러 글로벌 금융전문지 '더 뱅커'가 전세계 4000개 은행의 기본자본(Tier 1)비율·수익률 등을 기준으로 선정한 '2019년 전세계 1000대 은행' 순위에서 11위를 차지해 3년 연속 순위에 포함됐다. 

지난해 말 기준 중국 내 244개 분행과 3079개 영업망을 구축한 상태며 뉴욕, 동경, 싱가포르, 서울 등 해외 17개 국가와 지역에 22개 역외 지점을 두고 있다.

◆ '1호 상장은행' 실적∙시총은 국유은행 중 가장 부진  

교통은행은 지난 2005년 6월 23일 홍콩증권거래소(03328.HK)에서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며, 중국 6대 국유 상업은행 중 최초로 상장사가 됐다. 이어 약 2년 뒤인 2007년 5월15일 상하이증권거래소(601328.SH)에서도 IPO를 추진하며 양대 증시에 상장한 'A+H 국유 은행주'로 거듭났다.

6대 국유은행 중 가장 먼저 상장에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교통은행은 수익, 총자산, 시총 등 자금력과 수익성 등의 측면에서 다른 국유은행 대비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올해 들어 3개 분기 6대 국유은행의 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8.6% 하락했다. 지난 10년간 상업은행들이 기록한 상반기 순이익은 모두 플러스 성장을 기록해왔다. 2015년 1.54%의 가장 낮은 상승폭을 기록하긴 했어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그 중에서도 교통은행은 가장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올해 3개 분기 교통은행이 벌어들인 순이익은 527억1200만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12.36% 줄었다. 나머지 5대 국유은행이 같은 기간 기록한 전년동기대비 순이익 증감폭을 살펴보면 공상은행(-9.15%), 농업은행(-8.49%), 중국은행(-8.69%), 건설은행(-8.66%), 우정저축은행(-2.66%)의 순이었다. 

시총과 총자산 규모에 있어서도 교통은행은 가장 늦게 상장한 우정저축은행에도 뒤쳐진다.

11월 3일 오후 장 기준 6대 국유은행의 A주(중국 본토증시에 상장된 주식)와 H주(홍콩증시에 상장된 주식) 시총은 공상은행(1조7600억 위안/1조6500억 HKD), 건설은행(1조5700억 위안/1조4200억 HKD), 농업은행(1조1100억 위안/9799억5200만 HKD), 중국은행(9420억4100만 위안/7624억6400만 HKD), 우정저축은행(4061억9000만 위안/3479억1400만 HKD), 교통은행(3378억9500만 위안/2985억3600만 HKD)의 순이다.

3분기까지 교통은행의 총자산은 10조8000억 위안으로 지난해 말 대비 8.98% 늘었다. 같은 기간 공상은행은 총자산은 지난해 말 대비 11.17% 늘어난 33조4719억 위안으로 가장 많은 자본을 보유한 국유은행 자리를 유지했다.

이어 건설은행 28조2981억 위안(지난해 말 대비 +11.25%), 농업은행 27조2968억 위안(지난해 말 대비 +9.72%), 중국은행 24조7000억 위안(연초 대비 +8.49%), 우정저축은행 11조1300억 위안(지난해 말 대비 +8.98%)의 순이었다. 특히, 우정저축은행은 총자산 11조 위안을 돌파하며 눈에 띄는 속도로 자금력을 확대하고 있다. 

◆ 3분기 자산품질 개선세, 높은 현금 배당매력 보유 

하반기 들어 교통은행의 자산품질 및 자산건전성은 개선되는 흐름이다. 하지만 비율 면에서는 6대 은행 중 가장 높은 불량대출률과 가장 낮은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을 기록하고 있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펀더멘털(기초체력) 압박에 대한 대응력 개선 과제에 직면해 있다.

3분기 기준 교통은행의 불량대출률은 1.67%로 전분기 대비 1bp(1bp=0.01%) 줄었다. 같은 기간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은 150.81%로 전분기 대비 2.08%포인트 늘었다.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은 부실여신에 대비한 대손충당금 적립 정도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금융기관의 신용손실 흡수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같은 기간 다른 국영은행의 불량대출률은 공상은행(1.55%), 건설은행(1.53%), 농업은행(1.52%), 중국은행(1.48%), 우정저축은행(0.88%)의 순으로 전분기 대비 증감폭은 각각 +5bp, +4bp, +9bp, +6bp, -1bp를 기록했다.

3분기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은 우정저축은행(403.21%), 농업은행(272.44%), 건설은행(217.51%), 공상은행(190.19%), 중국은행(177.46%)으로 전분기 대비 증감폭은 각각 +3.09%포인트, -12.53%포인트, -5.96%포인트, -4.5%포인트, -9%포인트였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6대 은행 중 우정저축은행은 자산품질 관리 측면에서 가장 뛰어난 성적을 거뒀다고 판단할 수 있다.

31%를 넘어서는 높은 현금배당률은 교통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투자 매력 중 하나다.

2017~2019년 6대 국영은행의 현금 배당률을 살펴보면 교통은행은 31.41%/31.37%/31.35%, 공상은행은 30.5%/30.5%/30.4%, 건설은행은 30%/30%/30%, 농업은행은 30%/30%/30%, 중국은행은 30%/30%/30%, 우정저축은행은 25%/ 30%/30%의 수준이었다.

광발증권(廣發證券)은 코로나19 사태 여파에 따른 은행 업계의 전반적인 실적 하락 속 교통은행의 실적도 하락했으나, 영업수익과 경영성장성을 반영하는 충당금적립전영업이익(PPOP)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는 점에서 '매수' 투자의견을 제시했다. 

이어 2020~2021년 순이익 증감률은 각각 -20.95%와 4.82%로, 같은 기간 주당순이익(EPS)는 각각 0.79위안과 0.83위안으로 전망했다. EPS는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EPS가 높아진다는 것은 해당 기업의 경영실적이 호전되고 배당 여력도 많아져 그만큼 투자 가치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8월 31일 보고서 발행일 당시 A주 최신 종가를 기준으로 추산한 주가수익비율(PER)은 6.07배와 5.78배, PBR은 0.48배와 0.46배로 평가했다.

PER은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에 비해 주가가 적정하게 형성돼 있는 지를 판단하는 지표이고, PBR은 기업의 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적정하게 형성돼 있는 지를 판단하는 지표다. 일반적으로 PER과 PBR이 낮을 수록 주가가 저평가 돼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 만큼, 미래 성장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고 이에 투자가치가 높다고 판단한다.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이정후, MLB 첫 2경기 연속 대포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이정후가 미국 진출 후 처음으로 2경기 연속 홈런포를 쏘아 올렸다. 샌프란시스코는 그동안 이정후가 홈런을 친 6경기(지난해 2경기)에서 100% 승률을 거뒀지만 처음으로 승리 공식이 깨졌다. 이정후는 15일(한국시간) 샌프란시스코 오라클파크에서 열린 애리조나와 홈경기에서 4-8로 추격한 7회 투런 홈런을 날렸다. [샌프란시스코 로이터=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샌프란시스코 이정후가 15일 애리조나와 홈경기에서 7회 2점 홈런을 날린 뒤 맷 윌리엄스 코치의 환영을 받으며 3루 베이스를 돌고 있다. 2025.05.15 zangpabo@newspim.com 전날 애리조나전 8회 3점 홈런에 이어 이틀 연속 아치를 그린 이정후는 시즌 6호 홈런을 기록했다. 그러나 샌프란시스코는 7-8로 아쉽게 졌다. 지난해 데뷔한 이정후가 2경기 연속 홈런을 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달 14일 뉴욕 양키스전에서 연타석 홈런을 쳐 한 경기 홈런 2개를 발사한 적은 있었다. 3번 7회 무사 1루에서 네 번째 타석에 선 이정후는 애리조나 세 번째 투수인 우완 라인 넬슨을 맞아 원볼 투스트라이크에서 4구째 시속 138㎞ 체인지업을 받아쳐 우중간 펜스를 넘겼다. 타구 속도는 시속 164㎞가 나왔고 비거리는 120m였다. 넬슨은 지난해 애리조나에서 선발로 뛰며 10승(6패 평균자책점 4.24)을 기록한 빅리그 4년차 유망주다. 3번 중견수로 출전한 이정후는 1회 3루수 파울 플라이, 3회 3루수 땅볼, 5회 좌익수 뜬공으로 물러났다. 5회 타구는 애리조나 좌익수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가 펜스 앞까지 달려가 잡아내는 호수비가 아니었으면 장타가 됐을 타구였다. 2점 차로 뒤진 9회에는 선두 타자로 나가 좌익수 뜬공으로 아웃됐다. 이날 범타로 물러난 네 타석에선 공이 모두 왼쪽으로 밀렸다. [샌프란시스코 로이터=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애리조나 좌익수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가 15일 샌프란시스코와 원정경기에서 5회 이정후의 깊숙한 타구를 러닝 캐치로 잡아내고 있다. 2025.05.15 zangpabo@newspim.com 5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을 기록한 이정후는 4경기 연속 안타 행진을 벌였지만 시즌 타율은 0.286로 약간 내려갔다. 2경기에서 5타점을 쓸어 담은 이정후의 타점은 29개로 늘어나 윌머 플로레스(33개)에 이어 팀 내 2위를 기록했다. 전날 애리조나를 10-6으로 꺾고 4연패에서 탈출했던 내셔널리그 서부지구 3위 샌프란시스코는 이날 패배로 4위 애리조나에 2경기 차로 쫓기게 됐다. 샌프란시스코는 9회 이정후가 아웃된 뒤 1사 만루 기회를 만들었다. 마이크 여스트렘스키의 삼진 후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의 밀어내기 볼넷으로 1점 차까지 추격했으나 크리스천 코스가 중견수 뜬공으로 잡혀 역전에 실패했다. 샌프란시스코는 하루 휴식 후 17일 애슬레틱스와 홈 3연전을 시작한다. zangpabo@newspim.com 2025-05-15 08:58
사진
'서부지법 난동' 첫 선고 2명 모두 실형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 발부 전후인 지난 1월 18∼19일, 서부지법에서 발생한 난동 사건으로 구속기소된 95명 중 2명이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았다. 서울서부지법 형사6단독(재판장 김진성)은 14일 오전 특수건조물침입 등의 혐의로 기소된 김 모 씨와 소모 씨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김 모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 소모 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 이날 선고는 서부지법 난동 사태 발생 4개월여 만에 나온 첫 선고다.  앞서 검찰은 김씨에게 징역 3년, 소씨에게 징역 2년을 구형했다. 지난 1월19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 청사 유리창과 벽면이 파손되어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 구속영장이 발부되자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법에 난입해 유리창을 깨고 집기를 훼손하는 등 난동을 부려 경찰이 강제진압에 나섰다. [사진=뉴스핌 DB] 선고는 김 씨부터 진행됐다. 재판부는 "이 사건은 특수건조물 침입, 공용 물건 손상, 특수 공무집행 방해"라며 "피고인이 증거에 관해서 자백하고 있고 보관 증거가 있어서 유죄로 인정된다"고 했다. 이어 "이 사건은 다중위력을 보인 범행이고, 범행 대상은 법원"이라며 "피고인을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이 하나의 사건에 연관되었고, 당시 발생한 전체 범행의 결과는 참혹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사법부의 영장 발부 여부를 정치적 음모로 해석 규정하고, 그에 대한 즉각적인 응징, 보복을 이뤄야 한다는 집념과 집착이 이뤄낸 범행"이라고 했다. 재판부는 "다만 이 사건은 공동 범행이 아니라 단독 범행이기 때문에 피고인의 행위에 대해서만 평가한다"면서도 "다중의 위력을 보였다는 부분은 범죄사실에 포함되므로 고려한다"고 말했다. 이어 "피고인은 벽돌 등을 던져, 법원 건물 외벽 타일을 깨뜨렸고, 법원 경내로 들어가 침입했다"며 "법원 내부 진입을 막고 있던 경찰관들을 몸으로 밀어 폭행했다"고 했다. 다만 "피고인이 진지한 반성 태도를 보이고, 우발적으로 범행에 이르게 된 점, 초범인 점, 그밖에 양형 제반 사항을 고려해 징역 1년 6개월에 처한다"고 밝혔다. 이어진 소 씨의 선고에서 재판부는 "피고인이 자백하고 있고 보관 증거 있어 유죄"라고 했다. 그러면서 "피고인은 법원 경내로 들어간 다음 당직실 유리창을 통해 건물 1층 로비까지 들어가 침입했다"며 "화분 물받이로 창고 플라스틱 문을 긁히게 하고, 부서진 타일 조각을 던져 법원 건물 외벽 타일을 손괴했다"고 말했다. 다만 "피고인이 진지한 반성으로 보이고, 우발적 범행에 이르게 된 점, 초범인 점, 그밖에 양형 제반 사항을 고려해 징역 1년에 처한다"고 밝혔다. 이번 선고에 앞서 재판부는 "어제 딸에게 산책하며 '아빠가 어려운 사건을 선고한다'고 했더니 '이재명 사건이냐, 윤석열 사건이냐?'고 묻더라"며 "더 어려운 사건이 있겠구나 싶었지만, 결단과 선고 순간에는 어렵고 쉬운 사건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판결문을 머릿속으로 썼다가 지웠다 수없이 반복했다. 오늘 선고를 할지 말지도 많이 고민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오늘 선고가 정답이라고 생각지 않는다. 다만 결정과 결단의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이 선고가 피고인의 남은 인생을 좌우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남은 생은 피고인 본인답게 살아달라"고 당부했다. 또 "이 사건과 같은 날 있던 전체 사건을 포함해 법원, 경찰 모두 피해자라고 생각한다"며 "그날 직접 피해를 본 법원, 경찰 구성원분들과 지금도 피해를 수습할 관계자분들 노고에 감사하다. 기자들을 포함해 지금도 피해를 수습하는 과정인 거 같다"고 덧붙였다. 이어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어려운 시기에 시민들께서 사법부뿐 아니라 경찰, 검찰, 법원 전체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chogiza@newspim.com 2025-05-14 11: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