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문화

속보

더보기

[신화통신 뉴스] '중한호조(中韓互助)', 中공산당과 韓독립운동의 역사적 교차점

기사입력 : 2021년07월01일 10:01

최종수정 : 2021년07월01일 10:01

본 기사는 뉴스핌의 중국 제휴 언론사 <신화통신사>가 제공합니다. <신화통신사>는 중국 국무원에 속해있는 종합통신사입니다. 해외 독자들을 대상으로 보도하는 중국 대표적인 통신사로 중국과 해외의 교류, 발전, 역동적인 중국의 사회, 다채로운 문화를 생생하게 전달해 드릴 것입니다.

[서울=뉴스핌] 정리 주옥함 기자 = 올해는 중국공산당 창당 100주년이 되는 해이자 '중·한 문화교류의 해'(2021~2022)가 시작되는 해다. 중국공산당이 창설된 1921년은 중화민족이 국난을 겪던 시기였다. 당시 한민족 역시 일본 제국주의 식민통치 하에서 신음하고 있었다. 한국의 수많은 애국지사들은 중국을 거점으로 민족 독립운동의 횃불을 밝혔다.

김승호 주상하이 한국 총영사가 홍색 버스에 오르고 있다. [사진= 왕샹 신화통신 기자]

항일투쟁의 역사 속에서 중국 공산당원과 한국 독립운동가들은 공동의 적 앞에서 서로 손을 맞잡았다. 싱하이밍(邢海明) 주한 중국대사는 중국공산당과 한국은 그 인연이 깊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기, 특히 충칭(重慶) 시기에 저우언라이(周恩來) 등 중국공산당의 혁명가들은 김구 선생 등 한국 독립운동가와 우의를 다졌다. 이같은 교류와 협력은 중·한 수교 이후 중국공산당과 한국 여야 각 정당과의 우호관계 수립에 기반을 제공해왔다.

신화통신 기자는 최근 중국 내 여러 역사적 현장을 직접 찾아가 한국 근대 독립운동사 속에서 중국공산당과의 교차점을 조명했다.

◆상하이-자싱(嘉興), 역사의 우연한 일치

김승호 주상하이 한국 총영사는 최근 홍색 관광버스를 타고 상하이의 주요 '홍색 랜드마크(공산당 유적지)'를 둘러봤다.

김 총영사는 국가 간 교류는 국민 간 마음의 거리에 달려 있고, 마음의 거리는 얼마나 서로 마음이 통하는지에 달려 있다면서 이번 홍색 버스 탑승으로 중국 인민의 마음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공산당 창당 100주년 축하 인사와 함께 이번 홍색 랜드마크 여행을 통해 중국공산당의 창당 역사를 이해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주중 외교 사절단이 지난 6월 16일 중국공산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 기념관을 방문했다. 이날 40여 개국의 주중 외교 사절단이 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와 상하이시위원회의 초청으로 상하이를 방문해 중국공산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 개최지와 기념관을 둘러봤다. [사진= 우위 신화통신 기자]

김 총영사는 공산당의 지도 하에 인민이 함께 분투한 결과 중국이 오늘날과 같은 성과를 거두게 됐다며 상하이가 바로 그 분투의 시발점이라고 말했다.

1921년 7월 23일 마오쩌둥(毛澤東), 둥비우(董必武) 등 중국 각지에서 온 초기 공산당 조직 대표들은 상하이 프랑스 조계지의 한 스쿠먼(石庫門∙상하이의 전통 건축 양식) 건물에 은밀히 집결했다. 그들은 그곳에서 중국공산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를 개최했다. 당시 프랑스 조계지의 순경에 의해 회의장이 발각되자 대표들은 어쩔 수 없이 회의를 중단했다. 이어 8월 초 자싱 난후(南湖)로 이동해 유람선에서 회의를 재개했다. 중국공산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가 성공적으로 끝나면서 중국공산당 창당이 정식으로 선포됐다. 이때부터 중국공산당 혁명의 불씨가 타올라 전국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공교롭게도 대한민국 임시정부 역시 1919년에 상하이 프랑스 조계지에서 수립됐다. 이는 1910년 한일합병 후 처음으로 수립된 망명정부였다. 임시정부는 1926년부터 1932년까지 상하이 황푸(黃浦)구 마당(馬當)로에 위치한 한 스쿠먼 건물을 청사로 사용했다. 이는 중국공산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 개최지에서 직선거리로 300m도 채 안 되는 곳에 위치했다.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시 장성(長生)로에 위치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항저우 구지(舊址) 기념관'이 2007년 11월 30일 문을 열었다. 사진은 2007년 12월 1일 촬영한 기념관 정문. [사진= 신화통신]

1932년 4월 29일, 한국의 윤봉길 의사가 상하이 훙커우(虹口)공원에서 일본 군을 향해 폭탄을 투척했다. 그 사건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상하이에서 철수해 5월 항저우(杭州)로 거처를 옮겨야 했다. 훙커우 폭탄 의거를 이끌었던 김구는 자싱으로 몸을 피했다.

이후 김구는 일본군의 추포를 피해 자싱에서 이곳저곳을 전전해야만 했다. 한때 그는 난후 호숫가 한 척의 배에 몸을 숨긴 적도 있었다. 1935년 가을 김구는 여러 임시정부 요인들을 자싱 난후로 소집해 선상에서 국무회의를 개최하고 향후 항일 독립을 위한 계획을 도모하기도 했다.

창사(長沙), 공동의 적에 맞선 협력의 장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32년 항저우·전장(鎮江)을 거쳐 난징(南京)으로 이전한 후 1937년 말 창사에 둥지를 틀었다.

사실 중·한 지식인들은 양국이 힘을 합쳐 외적에 대응해야 하는 필요성을 훨씬 일찍 절감했고, 이에 중국과 한국의 우호단체인 중한호조사(互助社)를 각지에서 결성했다.

한국 독립운동 지도자인 김구를 기리기 위한 '김구 선생 창사(長沙) 진열관'이 2006년에 창사시 웨루산(嶽麓山) 관광지에서 개관했다. 2006년 4월 4일 한 남성 관광객이 진열관 내 김구 선생의 조각상을 관람하고 있다. [사진= 리가 신화통신 기자]

1921년 3월 중국공산당 혁명가인 마오쩌둥, 허수헝(何叔衡)은 후난(湖南)성 창사(長沙)에서 중한호조사를 설립했다. 중한호조사는 일본 침략에 반대하는 한국의 민족 독립 투쟁을 적극 지원했다.

창사 중한호조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선전원이 후난 지역에서 반일 선전 활동을 펼치는 데 물질적으로나 도의적으로 한국의 독립운동을 적극 지원했다.

우수근 한중글로벌협회 회장은 신화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창사 중한호조사를 비롯한 중국 각지의 중한호조사는 당시 한·중 양국의 항일 공동투쟁에 큰 버팀목이 되었다"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소속 한국인 독립운동인사들도 이를 또 하나의 거점으로 삼았다"고 말했다.

후난(湖南)성 창사(長沙)시 촨산학사(船山學社) 구지(舊址)의 모습. [사진= 장위제 신화통신 기자]

창사 중한호조사의 옛터가 자리한 촨산학사(船山學社)는 현재 중국 문물보호 기관의 관리 하에서 외부에 개방됐다. 우 회장은 "한·중 양국의 소중한 우호와 연대의 상징으로서 이 옛터를 한국 사회에도 적극 알려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충칭, 중·한 우호의 역사적 현장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청사를 계속 서쪽으로 이전하다 1940년 충칭에 이르렀다. 이곳은 1945년 독립하기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마지막 중국 청사로 활용됐다. 이 기간에도 중국공산당은 한국의 독립운동에 협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지(舊址∙옛터) 진열관의 샤쉐(夏雪) 부관장은 신화통신 기자에게 "이곳에서 약 100m 떨어진 곳이 바로 중국공산당 남방국(南方局) 기관지 '신화일보(新華日報)' 영업부의 옛터"라며 "'신화일보'는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의 독립운동 상황을 가장 많이 보도했던 언론"이라고 소개했다.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지(舊址) 진열관 전경. [사진= 진열관 제공]

해방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은 1945년 11월부터 충칭을 떠나 고국땅으로 돌아갔다. 김구의 '백범일지'에 따르면 당시 저우언라이, 둥비우를 비롯한 중국공산당 지도자가 임시정부 국무원 전원을 위해 송별연을 개최해 주었다.

1992년 8월 24일 중화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이 정식으로 수교를 맺었다. 한국 측 인사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지를 복원하기를 희망했다. 그러나 이곳은 당시 주민들의 거주지역이자 상업용 부동산 개발 대상 지역이었다.

샤 부관장은 "충칭시 정부는 경제적 손실을 무릅쓰고 기업에 보상금을 지급해 이 터를 보존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가급적 원래 형태를 보존하는 방향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지를 복원해 1995년 8월 정식 개관했다고 밝혔다.

한국 유학생 김민희씨가 지난 5월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지(舊址) 진열관을 관람하고 있다. [사진= 신화통신]

2000년 한국과 충칭 간 하늘길이 열렸다. 중·한 각 분야 교류가 갈수록 활성화되면서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지 진열관을 찾는 사람도 점차 늘고 있다. 샤 부관장은 "2010년 이후 관람객이 크게 늘기 시작해 2019년에 최고 기록을 세웠다"며 "약 5만 명의 사람들이 이곳을 찾았다"고 말했다.

많은 한국 관광객이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지를 복원하고 보존해 준 중국 정부에 감사를 표했다. 개관 20여 년 동안 관람객들이 남긴 100여 권의 방명록이 바로 중·한 양국의 깊은 우호교류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을 방문한 문재인 한국 대통령 역시 2017년 12월 16일 충칭을 찾아 임시정부 구지 진열관을 방문했다. 그는 방명록에 이렇게 적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우리의 뿌리입니다. 우리의 정신입니다."

[중국 신화통신사(新華通訊社)=본사 특약]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대통령 "아내 현명치 못한 처신 사과…특검, 수사 후 부실 있을 때 하는 것" [서울=뉴스핌] 박성준 김가희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9일 김건희 여사와 관련한 의혹에 대해 "제 아내의 현명하지 못한 처신으로 국민께 걱정 끼친 부분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윤 대통령은 야당의 특검요구에 대해서는 "어떤 면에서는 정치 공세, 정치 행위 아닌가"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 2년 국민보고 및 기자회견'에서 김건희 여사 특검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에 대한 의견을 묻자 이같이 답했다. 윤 대통령은 "검찰에서 수사를 시작한다고 발표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검찰 수사에 대해서 어떤 입장 또는 언급을 하는 것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오해가 일어날 수 있기 떄문에 거기에 대해서는 제가 따로 언급하지 않겠다"면서 "공정하고 엄정하게 잘 할 것이라고 저는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서울=뉴스핌] 윤석열 대통령이 9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를 하고 있다.[사진=ktv 캡처 ] 2024.05.09 photo@newspim.com 이어 "특검 문제는 제가 지난 1월에 재의요구를 했지만 검찰 또는 경찰의 수사가 봐주기 의혹이나 부실 의혹이 있을 때 특검을 하는 것이 맞다고 야당도 주장해 왔다"며 "특검이라고 하는 것은 일단 정해진 검경, 공수처 등 기관의 수사가 봐주기나 부실 의혹이 있을 때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도이치(모터스)니 등 사건에 대한 특검 문제도 지난 정부 2년 반 정도 사실상 저를 타겟으로 검찰에서 특수부까지 동원해서 치열하게 수사했다"며 "그런 수사가 지난 정부에서 저와 제 가족을 봐주기 수사를 했다는 것인지, 봐주기 수사를 하면서 부실하게 했다는 것인지, 저는 거기에 대해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윤 대통령은 "그 자체가 모순이라고 생각한다. 특검이라고 하는 것을 20여년 넘도록 여러 차례 운영해왔지만 그런 관점에서 여야가 의견 일치를 보고 해온 것"이라며 "지난번 재의요구에서 했던 특검에 대해서는 지금도 여전히 할 만큼 해놓고 또 하자는 것은 특검의 본질이나 제도 취지와는 맞지 않는, 어떤 면에서는 정치 공세 정치 행위 아닌가"라고 했다. 그러면서 "진상을 가리기 위한 것은 아니지 않느냐, 그런 생각은 여전히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parksj@newspim.com 2024-05-09 10:49
사진
[단독] 2005년 이후 '의사고시' 본 외국 의사 424명…헝가리·우즈벡 순 많아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지난 2005년 이후 지난해까지 우리나라 '의사 고시'에 응시한 외국면허 의사는 총 424명으로 파악됐다. 이중 절반은 불합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 헝가리와 우즈베키스탄 출신이 가장 많았으며, 미국, 독일, 호주가 뒤를  이었다. ◆ 정부, 의사 고시 면제 추진…외국면허 응시자 늘어날 전망 10일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과 보건복지부에서 제출 받은 '국가별 외국의대 국가고시 불합격 현황'에 따르면, 외국의대 졸업생이 국내 의사시험에 응시했다가 합격한 비율은 50.7%에 불과하다. 지난 2005년부터 2023년까지 총 424명의 외국면허 의사가 국내 의사 예비시험(1차 시험)에 응시해 235명이 합격, 합격률은 55.4%였다. 또 예비시험을 거쳐 국가고시(2차 시험)에 응시한 사람은 288명이며 이중 합격자는 215명이었다. 예비시험을 본 외국면허 의사중 국가고시까지 합격한 비율은 절반 수준인 50.7%에 머문 것이다(표 참고). 의사 국가고시는 '의사가 될 자격'을 판단하는 시험이다. 현행 외국 의사 면허 소지자는 '의료법 제5조'에 따라 복지부가 정한 인정 기준에 해당하는 외국 의대를 졸업한 뒤 국내에서 의료 활동을 하려면 국내 의사 예비시험을 통과해 의사 국가시험에 응시하는 자격을 확보해야 한다. 이후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주관으로 치러지는 '의사 국가고시'를 봐야 한다. 정부는 지난 8일 의사집단행동으로 인한 의료공백을 막기 위해 외국에서 면허를 딴 의사들도 보건 의료위기 '심각' 단계에서는 국내에서 진료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의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령안'을 입법 예고했다. 이에 따라 국내 의사고시를 봤으면 탈락했을 외국의대 졸업자들이 대거 의료 현장에 투입될 전망이다.  '외국의대 예비고시의 국가별 현황(2005~2023)'을 보면 헝가리 출신 응시자가 189명으로 가장 많았다. 우즈베키스탄이 71명으로 뒤를 이었고 영국 27명, 미국 23명, 독일 21명, 호주 18명, 러시아 16명 순이었다.  헝가리는 이중 79명이 불합격해 불합격률이 41.7%를 기록했다. 우즈베키스탄은 절반이 넘는 40명(56%)이 불합격했다. 미국도 불합격률이 69.5%(16명)에 달했다.  '외국의대 국가고시의 국가별 현황(2005~2023)'도 헝가리가 119명으로 가장 많았다. 우즈베키스탄(38명), 영국(21명), 독일(18명), 호주(15명)가 뒤를 이었다. 필리핀은 11명이 응시해 10명이 불합격하고 1명만 합격했다.   신 의원은 "외국 의대를 졸업하고 한국에서 국가고시를 다시 보는 이유는 외국에 있는 의료와 한국의 의료 간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며 "(환자의) 인종과 지역 특성에 따라 질병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신 의원은 "한국 의료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있고 준비가 돼 있느냐는 국가고시를 통해 보는데 자격이 되지 않은 사람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것은 의료의 질을 담보하지 않은 사람이 의료 행위를 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는 것"이라며 "현 정부의 정책은 국민의 의료 이용을 열악하게 만들고 불편한 상황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 국가별 의료 수준 달라…"의료체계 후퇴" 우려 신현영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국가별 외국의대 국내 의사면허 최종 불합격 비율 현황(2005~2023)'에 따르면 30개국 중 불합격률 50% 이상을 차지한 나라는 총 17개국으로 절반이 넘는다. 특히 필리핀은 응시자의 97%가 불합격했다. 미국 84.8%, 우크라이나‧폴란드 75%, 일본 68%, 우즈베키스탄‧벨라루스‧브라질 66.7%, 독일 58.7%, 호주 55.2%, 러시아 55%, 헝가리 52.1%, 오스트리아‧아일랜드‧르완다‧프랑스‧남아프리카공화국 50%, 파라과이 46.7%, 볼리비아 33.3%, 영국 31%, 뉴질랜드‧스위스‧이탈리아‧체코‧카자흐스탄‧몽골 0%다. 나머지 4개 나라는 응시하지 않았다. 외국 의대 졸업자의 국내 의사 국시 불합격률이 높은 반면 한국 의사국시 전체 불합격률은 10% 수준이다. 2022년 국내 의사 국시 합격률은 상반기 97.6%, 2022년 하반기 95.9%다(표 참고) 외국과 한국 의대 불합격률이 차이가 나는 원인은 국내 의대의 경우 4∼6년마다 한 번씩 점검해 의학교육 적합성을 관리하기 때문이다. 반면 외국의대는 국내 의사 국가고시를 볼 수 있는 곳으로 인증받고 난 후 관리·감독 시스템이 전무한 수준이다. 신 의원은 "(외국 의사를 도입하는 정부 방안은) 오히려 의료체계를 후퇴하게 만드는 판단"이라며 "국민도 자격을 갖추지 못한 사람들에게 진료받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외국 의사가 국내 인증을 받으려면 대학 학제와 교과과정, 학사관리 등이 우리나라 해당 대학 수준과 비교해 동등하거나 그 이상이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sdk1991@newspim.com 2024-05-10 06: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