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캐나다, 신경제 질서 공동 대응 모색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는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6일 오후 타마라 모휘니 주한 캐나다 대사와 만나 양국 간 관세 공동대응 방안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사진=뉴스핌 DB] |
도에 따르면 최근 미국 행정부는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했으며, 시행일 하루 전인 3일 이를 한 달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이와 함께 중국은 오는 10일부터 일부 미국산 제품에 대해 10∼1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만약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고율 관세가 시행되면 한국 기업, 특히 전기차와 배터리 업종이 심각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도는 이러한 상황에서 캐나다와 만나 의견을 교환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지사는 지난 3일 자신의 SNS를 통해 '트럼프 2기 비상 대응체제'의 즉각적인 가동을 촉구하며, 여·야·정의 합의로 '경제전권대사'를 조속히 임명할 것과 수출 방파제 구축, 신속한 추경 편성을 요구한 상황이다.
'경제전권대사'는 변화하는 국제 경제 환경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물로 정의되며, 김 지사는 이미 올해 신년 기자회견에서 이 제안을 했다. 김 지사는 다보스 포럼과 여러 언론 인터뷰에서 그 시급성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수출 방파제'는 관세와 환율, 공급망 재편과 관련된 대응책으로, 수출용 원자재 수입에 대한 관세 한시적 폐지,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무역보험 지원 확대, 수출 전략 산업의 첨단생산설비에 대한 보조금 지원이 포함된다.
강민석 경기도 대변인은 "캐나다 대사와의 만남은 김 지사가 추진해 온 글로벌 경제 전략의 일환으로, 두 지역이 신(新)경제 질서에 공동으로 대응할 필요성을 공유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김 지사는 비상계엄사태 이후 2500여 명의 외국 투자자에게 긴급 서신을 발송한 이후, 주요 외국 대사 및 기관 회장들과 여러 차례 한국의 상황을 설명하고 신뢰를 강조해왔다. 1월에는 다보스 포럼에 참석하여, 세계 경제 지도자들과 한국 경제의 회복력을 설명하는 데 주력했다.
경기도와 캐나다는 2022년 9월 모휘니 대사의 경기도 방문 이후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오고 있으며, 2023년 5월에는 쥐스탱 트뤼도 총리와 함께 기념행사에 참석해 협력을 강화한 바 있다.
특히 경기도는 자매 지방인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BC)주와의 교류를 활발히 진행 중이다. 23년 5월에 BC주 수상이 경기도를 방문하고, 지난해에는 김 지사가 BC주를 방문하여 자매 결연의 실행 계획을 논의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