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국민경선' vs '국민참여경선'…친명과 비명, 의견차 뚜렷
[서울=뉴스핌] 박찬제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제21대 대통령 선거 경선룰을 두고 고심에 빠졌다.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일반 국민 100%)'과 '국민참여경선(일반 국민 50%·권리당원 50%)'을 두고 당내 의견이 엇갈리며, 대선 레이스가 시작하기도 전부터 불협화음이 나오고 있다.
11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위원회는 전날부터 경선룰 논의에 들어갔다. 당초 대선 투표일까지 시간이 촉박한 만큼 전날 늦은 밤에는 결론이 날것으로 보였으나,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회의가 11일로 연장됐다.
![]() |
[인천=뉴스핌] 김학선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9일 오전 인천공항 2터미널에서 제21대 대통령선거 출마 선언을 한 뒤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2025.04.09 yooksa@newspim.com |
경선룰 확정이 늘어지며 이미 출마를 선언한 비명(비이재명)계 후보들 사이에서 완전국민경선으로의 변경을 압박하는 목소리가 새어 나왔다. 비명계 주자들 입장에서는 이재명 전 대표가 당원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고 있는만큼, 완전국민경선이 국민참여경선보다 유리하기 때문이다.
김동연 경기지사 대리인인 고영인 전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대산빌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에 완전국민경선으로의 결정을 촉구했다. 고 전 부지사는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 논의가 심각히 우려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국민선거인단을 없애려는 방향이라는 제보가 들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노무현·문재인을 만들어온 국민 선거인단 모집,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아달라"며 "강력하게 반발하는 후보가 있음에도 일방적으로 룰이 정해진다면 과연 이 룰은 누구를 위한 룰이 되겠나"라고 했다.
그는 또 완전국민경선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를 가정한 질문을 받고 "국민선거인단이라는 취지의 원칙을 무시하면 이 경선이 무슨 의미가 있나"라고 답했다.
![]() |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에서 열린 대선출마 기자회견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04.07 yooksa@newspim.com |
또 다른 비명계 주자인 김두관 전 의원 측도 중앙당선거관리위원회가 후보의 요구를 무시 중이라며 반발했다. 백왕순 김두관 캠프 대변인은 입장문을 통해 "우리가 제안한 요구를 후보와 상의 없이 일축했다"며 "더 심각한 것은 룰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후보자의 의견을 한번도 묻지 않고 룰미팅을 한번도 갖지 않았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경선의 당사자인 대권후보들의 의견을 하나도 포용하지 못하는 민주당 '친이(친이재명)' 지도부가 어떻게 중도층과 국민을 포용할 수 있겠나"라고 비꼬기도 했다.
민주당 특별당규위는 일반국민과 권리당원 각각 50% 비중으로 후보를 선출하는 국민참여경선 방식과 일반국민과 당원 모두 '1인 1표'를 보장하는 완전국민경선 방식을 놓고 논의를 하고 있다. 민주당 권리당원들과 당 의원들은 '역선택' 우려가 적은 국민참여경선를 압박 중이다.
'친명(친이재명)계'로 꼽히는 노종면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자신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오픈 프라이머리는 아예 가능성 없으니 힘 빼지 말기로 하자"며 "역선택이란 표현도 안이하달 만큼 조작세력 대거 침투가 우려되는데 선거인단으로 (하자는 거냐)"고 썼다.
최민희 민주당 의원도 SNS를 통해 "당원들의 경선 역선택 우려 메시지가 많이 온다"며 "지난주 역선택방지법을 발의했다. 특정종교나 조직된 집단이 각당 경선에 개입해 결과를 왜곡하지 못하게 하는 법"이라며 완전국민경선시 역선택 우려가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pcja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