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기준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평균 시급 2만5156원…비정규직 1만8404원
중소기업 정규직 임금, 대기업 대비 60% 하회
대기업 낙수 효과 사라진 것으로 풀이돼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몇 년째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00인 이상 사업체의 정규직 임금을 100%로 가정했을 때 300인 미만 정규직 임금은 지난해 기준 57.7%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같은 정규직이어도 300인 이상 사업체 대비 300인 미만 사업체의 임금 수준은 60%를 넘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 1인당 평균 시급 2만5156원…전년 동월 대비 10% 증가
고용노동부는 29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4년 6월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3만3000개 표본사업체 내 근로자 약 100만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6월 급여계산기간의 고용형태·연령·학력·근로시간·정액급여 등을 분석했다.
![]() |
2024년 6월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결과 [자료=고용노동부] 2025.04.29 sheep@newspim.com |
지난해 6월 기준 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시간당 임금총액은 2만5156원으로 전년 동월 2만2878원 대비 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형태별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각각 2만7703원, 1만8404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11.7%, 4.7% 늘었다.
정규직의 시간당 임금총액을 100%으로 가정했을 때 비정규직 시급은 66.4%로 전년(70.9%) 대비 4.5%포인트(p) 떨어졌다.
정규직은 근로시간 증감이 임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비정규직의 경우 월력상 근로일수가 임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단시간 근로자가 많아 이 같은 결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고용부에 따르면 조사 기간 월력상 근로일수는 19일로 전년(21일) 대비 2일 줄었다.
![]() |
2024년 6월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결과 [자료=고용노동부] 2025.04.29 sheep@newspim.com |
지난해 6월 기준 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46.8시간으로 전년 동월 157.6시간 대비 10.8시간 줄었다.
고용부 관계자는 "정규직은 근로시간 증감이 임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월급제와 연봉제가 대다수(95.1%)다"라며 이 경우 월력상 근로일수가 감소할 경우 시간당 임금총액이 더 크게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비정규직 중 시간제 근로자 비중은 전년 대비 2.6%p 늘어난 50.3%"라며 "시간제 근로자가 전년 대비 9.9% 정도로 크게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이들 시간제 근로자는 특히 '보건사회복지업' '숙박음식업' '여성' '60세 이상'이라는 특징을 가진 것으로 분석했다.
◆ 대기업 임금 수준 60%를 못 넘는 중소기업 임금
같은 정규직이어도 300인 이상 사업체와 300인 미만 사업체 간 시간당 임금 격차는 2018년부터 56~58% 수준에 머무르면서 크게 개선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규모별 시간당 임금 상대수준을 살펴보면 300인 이상 사업체의 시간당 임금은 4만46원, 300인 미만은 2만2524원으로 집계됐다. 300인 이상 시급 대비 300인 미만 시급은 56.2%로, 전년 56.5% 대비 0.3%p 감소했다.
![]() |
2024년 6월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결과 [자료=고용노동부] 2025.04.29 sheep@newspim.com |
규모와 고용형태를 모두 고려하면 300인 이상 정규직 시간당 임금은 4만2548원, 비정규직은 2만6524원을 기록했다. 300인 미만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각각 2만4565원, 1만7644원으로 나타났다.
300인 이상 정규직의 시간당 임금총액을 100%로 봤을 때 300인 이상 비정규직 시급 수준은 62.3%, 300인 미만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각각 57.7%, 41.5%로 산출됐다. 전년과 비교하면 300인 미만 정규직만 0.1%p 올랐고 비정규직에서 300인 이상과 미만 각각 4.8%p, 2.6%p 하락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300인 이상 정규직 대비 300인 미만 정규직 및 비정규직의 시간당 임금 차이는 10년 전보다 축소되고 있으나 최근 둔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300인 이상 기업의 낙수 효과가 사라진 것으로 풀이된다.
![]() |
2024년 6월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결과 [자료=고용노동부] 2025.04.29 sheep@newspim.com |
실제로 최근 10년간 수치를 보면 300인 이상 정규직 대비 300인 미만 정규직 임금 수준은 2015년 49.7%에서 2024년 57.7%로 올랐으나, 해당 수치는 2020년 57.3%, 2021년 58.6%, 2022년 57.6%, 2023년 57.6%, 2024년 57.7%로 최근 몇 년 동안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사회보험 가입률은 90% 이상을 기록했다. 고용보험·건강보험·국민연금·산재보험 순서대로 91.8%, 92.4%, 92.6%, 98.1%를 기록했다. 노동조합 가입률은 9.7%로 전년 대비 0.2%p 하락했다.
![]() |
2024년 6월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결과 [자료=고용노동부] 2025.04.29 sheep@newspim.com |
shee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