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미싱 앱→NFC 부정결제…7만7천 건 허위매출
절반 이상이 소액결제…"피해자 눈치채기 어려워"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악성 애플리케이션(앱) 설치를 유도해 해외 신용카드 정보를 탈취한 뒤 근거리무선통신(NFC) 결제로 30억 원을 가로챈 사기단이 경찰에 붙잡혔다.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마약범죄수사대 국제범죄수사1계는 신용카드 사기단 32명을 검거해 전원 검찰 송치했다고 2일 밝혔다.
![]() |
국내 위장 가맹점에서 개통된 후 중국으로 밀반출된 카드 단말기. [사진=서울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 제공] |
이번 범죄는 기존과 달리 NFC(근거리무선통신) 결제로 카드 대금을 가로채는 신종수법으로 이뤄졌다.
4명(한국인 1명, 중국인 1명, 귀화한 중국인 2명)은 카드결제에 이용된 위장 가맹점 단말기를 구하고 결제에 동참한 모집책으로,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 등 혐의가 적용됐다.
나머지 28명은 위장 가맹점 명의를 대여해준 혐의(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 명의 대여)를 받는다.
총책인 중국 소재 한국 국적 60대 A씨는 현재 경찰이 추적 중이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총책이 스미싱 등으로 탈취한 해외 신용카드 정보를 제공받아 스마트폰에 저장하고, 국내에 만들어진 위장 가맹점의 카드 단말기에 NFC 결제하는 등 허위매출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돈을 빼돌렸다.
NFC 결제는 실물 없이 카드번호·CVC 번호·카드 유효기간 등만 알면 가능하다.
이런 식으로 2023년 12월부터 작년 7월까지 이들은 7만7341건을 부정 결제하는 방식으로 돈을 챙겼다.
위장 가맹점 명의자들은 카드 매출의 16~18%를 수수료로 받기로 하고 모집책들에게 자신의 명의를 빌려준 것으로 파악됐다.
모집책은 범죄수익의 20∼40%를 챙겼다. 나머지는 추적이 어려운 가상자산 형태로 총책에게 전달됐다.
부정 결제 중 절반이 넘는 3만9405건이 소액 결제로 이뤄져 피해자들이 개인정보 탈취 사실을 쉽게 눈치채지 못한 것으로 경찰은 추정했다.
이번 범행은 작년 7월 국내 카드사들에서 '이상 거래가 있다'는 취지의 수사 의뢰로 드러나게 됐다.
경찰은 이번 범행에 연계된 또 다른 카드 정보 탈취 조직이 있다고 보고 추가 수사를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이번 사건과 관련한 국내 신용카드 피해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국내 카드 명의자도 유사한 방식으로 피해를 볼 수 있기에 주의해야 한다고 경찰은 당부했다.
chogi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