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李 대통령, 韓 대미 투자 위축 강력 경고"
WP "트럼프 韓 근로자 美 체류 제안은 모순적"
WSJ "美, 숙련 외국 기술자 협력 필수성 인정"
[워싱턴=뉴스핌] 박정우 특파원 = 지난 주 미국 조지아주 서배나의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 대한 미국 이민당국의 대규모 급습으로 체포된 뒤 1주일간 구금됐던 한국인 근로자 316명 등 330명이 11일(현지시간) 전세기로 귀국길에 오른 소식을 미국 언론도 일제히 주요 기사로 전했다. 현지 언론은 이번 한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대규모 체포·구금 뒤 석방이 앞으로 첨단산업 분야에서 한국 등 외국 기업의 대미 투자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집중 조명하는 등 이번 사태의 파장에 주목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재명 대통령이 한국 근로자에 대한 비자 요건을 미국이 완화하지 않으면 한국 기업들이 미국 내 신규 공장 건설에 주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며 이는 지난 주 조지아주에서 벌어진 한국 근로자들에 대한 대규모 이민 단속 이후 나온 가장 강력한 발언이라고 보도했다.
지난 7월 말 한미 양국이 3500억 달러(486조 원) 규모의 대미투자가 포함된 관세협정안에 합의했지만 세부 이행 조건을 놓고 여전히 협상 중이라며 한국 측이 "미국이 비자 문제를 해결해야만 투자가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런 가운데 이 대통령이 직접 미국이 비자 문제 해결에 협조하지 않고 한국 근로자들에 대한 단속을 이어간다면, 이는 한국 기업들의 대미 직접 투자를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다며 "현재 정황으로는 우리 기업들이 미국 내 직접 투자를 망설일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는 것이다.
![]() |
2025년 9월 4일,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전기자동차 배터리 생산을 위해 진행 중이던 43억 달러(5조7000억 원) 규모의 공사 현장에서, 연방수사국 국토안보수사국(HSI) 요원이 단속 현장을 경비중이다. 이 날 한국인 약 300명을 포함해 총 475명이 체포됐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워싱턴포스트(WP)도 구금됐던 한국인 근로자 316명이 귀국길에 올랐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근로자들이 귀국을 일시 보류하고 미국에 남아 현지 근로자들을 교육·훈련시킬 수 있는지 검토하라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제안은 단속 이후 일주일간 한국 측이 지적한 모순점을 극명하게 드러낸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한국 선진 기업이 미국에 투자하길 원하는 트럼프 행정부가 고숙련 기술 인력을 대상으로 한 비자 제도를 제때 마련하지 않아 기업들이 실제로 공장 건설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WP는 이번 사건이 한국 기업과 협력업체들이 미국 정부의 제조업 활성화 및 대중국 경쟁력 강화라는 정책 기조에 발맞춰 공장 건설에 나서는 과정에서, 단기 비자나 비자면제 프로그램을 활용해 기술 인력을 파견해온 '문제적 비자 관행'을 드러냈다고 짚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미국 당국이 조지아 현대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이민법 위반 혐의를 들어 300여 명의 한국 근로자들을 체포한 지 일주일 만에 이들을 모두 석방했다며 상황 종료와 함께 미국의 투자환경에 대한 국제적 평판이 위협받던 사건이 일단락됐다고 보도했다. 이어 이번 석방이 서울과 워싱턴 간 수일에 걸친 협상 끝에 성사됐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제조업 활성화에 있어 아시아 제조강국과 숙련 기술자의 협력이 필수적임을 인정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고 평가했다.
dczoom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