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News

속보

더보기

[김윤경 국제칼럼]잦은 인사(人事) 소식에서 변화를 읽다

기사입력 : 2013년11월04일 10:58

최종수정 : 2013년11월06일 15:24

美 IT-미디어 업계 잦은 인력이동..미디어를 꿈꾸는 야후

[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구글은 한 때 실리콘밸리의 '인재 블랙홀'로 불렸다. 인재다 싶으면 자의든 타의든 모조리 구글로 향했기 때문이다. 이 자리는 얼마 지나지 않아 페이스북이 차지하게 됐다. '소셜(Social) 붐'이 일면서부터였다.

애플에서는 최근 인재가 빠지고 있다. 스티브 잡스 사후 혁신이 없어졌다는 등 애플의 미래 가능성이 살짝 위협받는다는 얘기가 나오면서 그렇다. 이렇게 인재가 어디로 몰리느냐 어디서 빠지느냐는 그 업체가 잘 나가고 있는지 아니면 고전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바로미터가 된다. 사실 어떤 업종의 기업이든 '사람'이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업계의 변화가 어떤 식으로든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도 보여준다.

최근 쿠오라에선 구글에서 일하면 나쁜 점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사진은 구글 건물과 세르게이 브린 공동 창업자.(출처=비즈니스인사이더)
질의-응답 웹사이트인 쿠오라(Quora)에서 최근 재미있는 주제의 질의-응답이 진행됐다.'구글에서 일하면 나쁜 점'(http://www.quora.com/Working-at-Google-1/Whats-the-worst-part-about-working-at-Google?share=1)에 대한 것이다.

아무리 페이스북에 인재를 빼앗기긴 했어도 구글이라면 여전히 '일하고 싶은 직장' 같은 설문에서 선두권인 '커리어 천국(Career heaven)'으로 불리는 곳 아니던가. 쿠오라를 보면 약간은 '배불러 보이는' 의견들이 올라와 있지만 과거의 굳이 구글을 택했던 이유가 없어지고 있는 상황은 감지된다.

우선 구글이 '스펙이 좋아도 너무 좋은' 인재들을 뽑고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꼽힌다. 브랜드 네임이나 높은 보상 등에 걸맞는 인재를 뽑아야 한다는 강박 때문에 '해야할 일에 비해 스펙이 너무 좋은' 이들을 뽑아 결과적으로는 이들에게 있어선 하찮은 일을 맡기게 된다는 지적이다. 이를테면 상위 10위권 대학을 나온 인재가 유튜브에서 문제가 있다고 신고된 콘텐츠를 가려낸다든지, 기본적인 코딩 작업을 한다든지 하고 있다는 것이다.

개발자들 대부분이 거만하다는 점도 구글에서 일하면 나쁜 점으로 꼽혔다. 자신이 남들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 객관적인 토의는 잘 이뤄지지 못한다는 것이다.

구글이 너무 커져 더 이상 초기 벤처(start up)가 아니고, 그래서 직원의 의견 등이 회사에 영향력을 미칠 수 없다는 점도 꼽혔다. 아무리 뛰어난 개인이라도 회사라는 기계 자체를 돌릴 수 없고, 다만 톱니바퀴에 윤활유 정도가 될 수 있다는 얘기. 같은 이유에서겠지만 구글 캠퍼스가 아무리 넓다고 하더라도 개인 사무공간은 매우 비좁다는 의견도 나왔다. 그 밖에도 기업 문화가 현실에 비해 미성숙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애플에서 계속 인재가 떠나고 있는 소식이 들려온다. 특히 애플의 초석을 다졌던 인재들이 많다. 3일(현지시간) 외신들에 따르면 애플에 23년간 몸담았고 iOS 개발의 주역이었던 헨리 라미로 부사장이 떠났다. 공식 발표는 아니고 그의 링크드인 프로필을 통해서 알려진 사실이다. 얼마 전엔 마케팅 귀재 수잔 린드버그도 애플을 떠나 블루투스 액세서리 업체 조본에 합류했다. 역시 25년간 애플에 근무했던 '애플맨'이었다.

물론 버버리 최고경영자(CEO) 같은 인재들이 애플에 속속 영입되고 있지만 업무라는 건 결국 사람이 하는 일인 만큼 애플도 분명 '바뀌고 있는 중'이다.

그런가 하면 미디어 업계에서도 인재들의 자리바뀜이 잦은 요즘이다.

올씽즈디지털이 주최한 포럼에서 마크 저커버그(맨 오른쪽)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와 대담하고 있는 월터 모스버그(맨 왼쪽)(출처=올씽즈디지털)
월스트리트저널(WSJ) 산하 올씽즈디지털(AllthingsD)을 이끌던, WSJ의 테크면을 화려하게 장식해 왔고 컨퍼런스 등 부대 사업 역시 활발히 해 왔던 월터 모스버그는 더 이상 WSJ과 일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새 자본을 유치해 새로운 IT 미디어를 창간하지 않을까 하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뉴욕타임스(NYT)의 IT 전문기자, 칼럼니스트로 활동하던 데이비드 포그는 야후로 떠났다.

올씽즈D에 따르면 야후는 요즘 포그를 비롯해 IT 전문기자들 영입에 여념이 없다고 한다. 포털에서 트래픽을 크게 유발할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뉴스, 그것도 IT 신제품 소개와 리뷰를 포함하는 뉴스이기 때문에 가능한 시나리오다. 

올씽즈D는 "야후가 우리 기자 두 명에게 접촉해 왔다"면서 이 소식을 전했다. 그리고 소식통에 따르면 야후는 유명 방송인 케이티 쿠릭과도 접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야후가 홈페이지를 통해 텍스트, 그리고 동영상(방송)까지도 아우르는 뉴스를 하고자 한다는 사실이, 미디어로서 갈 길을 모색하고 있다는 것이 거의 확실해 보인다.

많은 사람들이 이제 종이신문과 TV 방송을 통해 뉴스나 정보를 접하기보다 온라인과 PC를 넘어 모바일을 사용하고 있는 시대다. 수많은 정보 속에서 나에게 필요하고 가치있는 정보와 뉴스를 원할 때 야후는 아마도 IT쪽에 전문화된 정보와 뉴스를 생산, 재가공, 유통까지 하는 미디어가 되고자 하는 모양이다. 포그의 합류는 그 가능성을 엿본 것일테고.

야후의 체질변화에 앞장서고 있는 마리사 메이어 야후 최고경영자(CEO). 야후는 IT 미디어로서의 역할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출처=The Verge)
인재의 들고 남에서는 이렇게 변화를 읽을 수 있다. '구글에서 일하는 것이 나쁜 점'이 올라오고 있다는 건 구글이 이미 소셜을 지나 또다른 무언가를 원하는 실리콘밸리에서 인재를 빼앗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초기 공신(功臣)들이 떠나고 있는 애플은 확실한 비전으로 인재 단속과 체질 변화를 꾀해야 할 때란 점을 인지해야 할 것같다.

미디어 업계 역시 변곡점에 서 있다는 것이 분명해 보인다. 참여와 상호작용이 중요한 가치를 띠게 된 시대를 지나 이제는 수많은 정보 속에서 의미있는 '맥락(context)'을 읽게 해주는 큐레이터(Curator)가 되거나 특화된 경쟁력을 갖는 콘텐츠 생산과 유통에 나서지 않으면 안되는 시점이 됐다. 

과거 미디어가 독점했던 신속한 정보 전달의 기능은 이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대체하고 있다. '앙꼬 없는 찐빵' 같은 일반적인(general) 정보 생산과 유통으로는 미디어로서 존재 가치가 없어지는 시대가 된 것이다. 야후는 영민하게도 그걸 간파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덕수, 대선 출마 여부에 "노코멘트"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맞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 대행은 2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양측이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한국을 지금의 모습으로 만드는 데는 미국의 역할이 매우 컸다"며 "한국전쟁 이후 미국은 원조, 기술이전, 투자, 안전 보장을 제공했다. 이는 한국을 외국인에게 매우 편안한 투자 환경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 대행은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 축소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2025.03.24.gdlee@newspim.com 한 대행은 "협상에서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와 상업용 항공기 구매 등을 포함해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며 "조선업 협력 증진도 미국이 동맹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FT는 "비관세 장벽을 낮추는 방안도 논의될 수 있다"고 한 대행이 언급했다고 전했다. 한 대행은 협상 과정에서 "일부 산업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면서도, 양국 간 무역의 자유가 확대되면 "한국인의 이익도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FT는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여부에 대해서는 사안에 따라 재협상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한편, 한 대행은 6·3 대통령선거 출마 여부에 대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며 "노코멘트"라고 답했다. nylee54@newspim.com 2025-04-20 13:43
사진
호미들 중국 한한령 어떻게 뚫었나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의 '한한령'(限韓令, 중국의 한류 제한령)이 해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가 중국에서 공연을 한 사실이 알려지며 그 배경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18일 베이징 현지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3인조 래퍼 '호미들'이 지난 12일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서 공연을 펼쳤다. 반응은 상당히 뜨거웠다. 중국인 관객들은 공연장에서 호미들의 노래를 따라 부르기도 하고, 음악에 맞춰 분위기를 만끽했다. 공연장 영상은 중국의 SNS에서도 퍼져나가며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국적 가수의 공연은 중국에서 8년 동안 성사되지 못했다.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BTS도 중국 무대에 서지 못했다. 때문에 호미들의 공연이 중국 한한령 해제의 신호탄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호미들 공연이 성사된 데 대해 중국 베이징 현지 문화콘텐츠 업계 관계자들은 공연이 소규모였다는 점과 공연이 성사된 도시가 우한이었다는 두 가지 요인을 지목했다. 호미들이 공연한 우한의 우한칸젠잔옌중신(武漢看見展演中心)은 소규모 공연장이다. 호미들의 공연에도 약 600여 명의 관객이 입장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에서 800명 이하 공연장에서의 공연은 정식 문화공연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 중국에서는 공연 규모와 파급력에 따라 성(省) 지방정부 혹은 시정부가 공연을 허가한다. 지방정부가 허가 여부를 판단하지 못할 경우 중앙정부에 허가 판단을 요청한다. 한한령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의 문화공연은 사실상 금지된 상황이었다. 호미들의 공연은 '마니하숴러(馬尼哈梭樂)'라는 이름의 중국 공연기획사가 준비했다. 이 기획사는 공연허가가 아닌 청년교류 허가를 받아서 공연을 성사시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우한시의 개방적인 분위기도 공연 성사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한에는 대학이 밀집해 있으며 청년 인구 비중이 높다. 때문에 우한에는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다. 게다가 젊은 층이 많은 만큼 우한에서는 실험적인 정책이 시행되어 왔다. 우한시는 중국에서는 최초로 시 전역에서 무인택시를 운영하게끔 허가하기도 했다.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파격적인 정책이 발표되는 우한인 만큼, 한한령 상황임에도 호미들의 공연이 성사됐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베이징의 한 문화업체 관계자는 "우한시가 개방적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호미들의 공연은 소극적인 홍보 활동만이 펼쳐지는 한계를 보였다"며 "공연기획사 역시 한한령 상황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현지 문화콘텐츠 업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한국의 최정상급 가수가 대규모 콘서트를 개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어서 빨리 한한령이 해제되기를 기대하고 있지만, 한한령이 해제될 것이라는 시그널은 아직 중국 내에서 감지되고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 호미들의 중국 우한 공연 모습 [사진=더우인 캡처] ys1744@newspim.com 2025-04-18 13:1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