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中 IT·부동산 부호 배출기, 1400만명 당장 1~10억원 투자가능

기사입력 : 2014년04월22일 15:08

최종수정 : 2014년04월22일 15:08

리카싱 16년 연속 중화권 최고부호 고수

[뉴스핌=조윤선 기자] 리카싱(李嘉誠 리자청) 청쿵그룹 회장이 16년 연속 중화권 최고 부호에 올랐다.  인터넷 IT분야 부호들의 재산이 짧은 시간 빠르게 불어났고 부동산 분야는 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국 부호 배출의 산실로 명맥을 유지했다.

리카싱 회장과 같은 중화권 최상위 부유층 외에 중산층과 초고소득층  사이 중간 부자들로,  투자 가능자산이 60만~600만 위안(약 1억~10억원)에 달하는  '대중(大衆) 부유층'도 올 한해 1400만명을 넘어설 것이란 전망이다.

그래픽: 송유미 기자.

22일 중국 신경보(新京報)는 포브스 중문판이 21일 공개한 '2014년 중화권 부호리스트(이하 리스트)'에서 310억 달러(약 32조원)에 달하는 재산을 보유한 홍콩의 거부 리카싱이 1위를 차지, 16년 연속 중화권 최고 부자의 왕좌를 지키고 있다고 보도했다.

리카싱 회장에 이어 '마카오의 도박왕'으로 불리는 카지노 업계 대부 '뤼즈허(呂志和)'가 중화권 부호 2위에 올랐다.

중국 본토에서는 부동산 대기업 완다(萬達)그룹 왕젠린(王健林) 회장이 가장 부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왕 회장은 중화권 부호 순위에서는 5위를 차지했다. 그의 재산은 151억 달러(약 16조원)에 달한다.

왕 회장 다음으로 중국 본토에서 가장 재산이 많은 사람은 마화텅(馬化騰) 텐센트 회장으로 드러났다.

이번 공개된 리스트에는 총 290명의 중화권 부호가 랭크됐으며, 포브스의 세계 부호 리스트에서 중국인(중국 본토와 홍콩·대만·마카오 등 중화권 포함)이 차지하는 비중이 17.6%로 사상최고치를 기록했다고 중국 매체는 전했다.

특히 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10대 부호 중 1~4위를 모두 홍콩 부호가 차지해 눈길을 끌었다. 리카싱과 뤼즈허(재산 220억 달러)가 나한히 1,2위를 차지한데 이어, 홍콩 부동산 갑부 리자오지(李兆基) 헝지자오예(恆基兆業) 회장과 유통소매업계 거부 정위퉁(鄭裕彤) 홍콩신세계 회장이 각각 3,4위에 랭크됐다.

이 부호리스트에 오른 중국 본토 출신 부호는 152명으로 전체의 52%를 차지했다. 부호리스트 10위권에는 왕젠린(5위), 마화텅(6위) 외에 리옌훙(李彥宏) 바이두(百度) 회장, 쭝칭허우(宗慶後) 와하하(娃哈哈) 회장 등 4명의 중국 본토 출신 부호가 포함됐다. 리옌훙과 쭝칭허우는 이 리스트에서 각각 8위와 9위에 올랐다.

이밖에 100억 달러의 재산을 보유한 마윈(馬雲) 알리바바 이사회 주석이 15위를 차지했다. 이 랭크에 오른 중국 IT공룡기업 바이두와 알리바바, 텐센트 그룹 총수의 재산은 총 355억 달러에 달했다.

중국 매체는 인터넷의 급성장에 따라 이 세 IT공룡기업 총수의 재산이 짧은 시간내에 크게 늘었다고 소개했다. 이들의 재산은 2011년 중화권 부호리스트에 랭크됐을 당시보다 2.2배가 불어났다.

그래픽: 송유미 기자.
부호들을 가장 많이 배출한 분야는 단연 '부동산'이다. 이 리스트에 오른 290명 중 57명이 부동산 업종에 종사하는 부호로 그 비중이 20%에 육박한다.

부동산 외에 중화권 부호들은 주로 식음료, 제약 및 바이오 기술, 유통소매업, 원자재 등 업종에 종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리스트에 오른 290명 부호의 재산 총합은 8756억 달러(약 911조원)로 작년보다 22%인 1571억4000만 달러(약 164조원)가 증가했다.

이 부호랭킹은 개인 또는 가족의 순자산이 10억 달러(약 1조원)를 넘는 부호를 기준으로 작성됐다.

한편 이들 최상위 부유층 외에 중산층과 초고소득층 사이에 위치한 '대중적 부유층'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포브스는 앞서 19일에 '2014년 중국 대중 부유층 재산 백서'를 발표, 2014년 말 대중 부유층이 1401만명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3년 말, 투자 가능한 자산이 60만~600만 위안(약 1억~10억원)에 달하는 대중 부유층은 1197만명 이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사진
정당지지율 국민의힘 43.2%·민주 41.4%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설날 전까지 10% 포인트(p) 가까이 차이를 보였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오차 범위 내 접전 양상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세를 타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꺾였고, 떨어지던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회복됐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자동 응답시스템) 조사해 7일 발표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43.2%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1.4%였다. 지난달 22일 발표된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5.3%p 하락한 반면 민주당은 2.6%p 상승하면서 양당 지지율 격차는 9.7%p에서 1.8%p로 줄었다. 조국혁신당은 4.5%로 지난조사보다 0.7%p 상승했고, 개혁신당은 1.5%로 0.2%p 올랐다. 진보당은 0.7%(+0.3%p), '기타다른정당' 2.3%(+0.6%p), '지지정당없음' 5.9%(+4.2%p), '잘모름'은 0.5%(+0.4%p)로 기록됐다. 연령별로 보면 18~30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을, 40~50대는 민주당을 가장 많이 지지했다. 만 18세~29세는 국민의힘 46.3%, 민주당 35.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9%, 진보당 1.2%, 기타다른정당 3.4%, 지지정당없음 3.3%, 잘모름 1.2%였다. 30대는 국민의힘 41.1%, 민주당 39.9%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6%,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7%, 잘모름 0.8%였다. 40대는 민주당이 55.9%, 국민의힘 29.0%, 조국혁신당 5.1%, 개혁신당 0.5%,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7.4%였다. 50대는 민주당 47.0% 국민의힘 35.3%, 조국혁신당 7.2%, 개혁신당 2.3%,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0.4%, 지지정당없음 6.4%였다. 60대는 국민의힘 53.7%, 민주당 35.7%, 조국혁신당 2.8%, 진보당 0.5%,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4%였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6.9%, 민주당 31.6%, 조국혁신당 1.9%, 진보당 1.0%,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8%였다. 국민의힘은 지역별로 서울과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광주·전남·전북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국민의힘 47.2%, 민주당 38.5%, 조국혁신당 1.4%, 개혁신당 0.4%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3%였다. 경기·인천은 국민의힘 43.3%, 민주당 39.7%,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1.5%, 진보당 0.9%, 기타다른정당 3.3%, 지지정당없음 6.0%, 잘모름 1.4%였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3.5%, 국민의힘 36.5%, 조국혁신당 4.5%, 개혁신당 0.8%, 기타다른정당 2.0%, 지지정당없음 2.6%였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59.4%, 국민의힘 33.3%, 조국혁신당 2.4%, 지지정당없음 4.9%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5.2%, 조국혁신당 9.0%, 개혁신당 1.8%, 기타다른정당 1.5%, 지지정당없음 8.1%였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60%, 민주당 28.4%,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2.8%, 통합진보당 1.5%, 기타다른정당 1.7%, 지지정당없음 1.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54.6%, 국민의힘 28.4%, 조국혁신당 6.9%, 개혁신당 3.5%, 기타다른정당 1.0%, 지지정당없음 5.5%였다. 성별로는 남성은 국민의힘 46.0%, 민주당 38.1%,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5%, 진보당 0.8%,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6.7%였다. 여성은 민주당 44.6%, 국민의힘 40.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0.5%, 진보당 0.6%, 기타다른정당 2.5%, 지지정당없음 5.1%, 잘모름 0.9%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체 면회를 가는 등 모습이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일부 중도층도 야권으로 이동하면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상승했다"며 "여론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