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투자 확대, 경기 부양+민심 이반 방지 목적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15일 2분기 및 상반기 국내총생산(GDP) 등 핵심 지표 발표를 앞두고 중국 경제 전문가들이 전망치를 내놨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주요 도시 봉쇄에도 불구하고 2분기 성장률이 '플러스'를 기록할 것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지만 성장폭에 대해서는 엇갈린 입장을 보였다. 5.5% 내외라는 올해 성장률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데 있어서도 다수 전문가가 공감대를 형성했다.
[사진=셔터스톡] |
◆ 2분기 성장률은 0.94%, 올해 전체 성장률은 4.3%
중국 유력 경제 매체인 디이차이징(第一財經)은 유명 경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2분기 및 올해 전체 경제 성장률에 대한 전망을 물었다.
조사 결과 경제전문가 17명의 2분기 성장률 예상 평균치는 0.94%로 모아졌다. 코로나19 확산이 경기 회복 흐름을 끊었다면서 1분기 성장률인 4.8%를 크게 하회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전체 성장률과 관련해서는 전망치가 3.7~5.5% 사이에 분포하면서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 13명의 예상 평균치는 4.3%로 나타났다. 목표치인 5.5%를 전망한 전문가는 13명 중 한 명에 불과했고, 나머지 12명은 목표 달성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코로나 사태가 경제의 하방 압력을 키웠다는 분석이다. 씽예(興業)증권 수석 경제학자 왕한(王涵)은 "단기적으로는 전염병 사태가 진정되면서 경기 회복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민간 부문의 자신감이 회복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 주도의 부양 정책이 연속성을 띨 것"이라고 전망했다.
궁상(工商)은행 국제 경제 수석 경제학자 청스(程實)는 하반기 인프라와 수출, 소비, 부동산이 경제 회복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3분기에는 인프라와 수출, 소비가 주도하고 부동산은 4분기가 돼야 본격적으로 살아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청스는 "인프라는 올해 경제 성장의 중요 동력"이라며 "올해 전체 광의적 인프라 투자는 6~8%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이다. 만약 8월 이후 내년치 특수목적채권 쿼터를 조기 배정할 경우 올해 인프라 투자 증가율은 10% 이상이 될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또한 "공급망 정상화 노력 속에 5월 수출 지표가 전망치를 크게 상회했다. 하반기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소비자물가지수(CPI) 간극이 점차 좁아지면서 제조업계의 수익성이 개선되고 제조업 투자가 안정적 회복세를 나타낼 것"이라면서 6월 이후 지역 간 이동 제한 조치가 완화되면서 소비가 살아날 것이라는 점,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은 가운데 규제 완화 조치가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통상 6개월 여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도 언급했다.
한편 앞서 런민(人民)대학교 주최의 중국거시경제포럼(CMF)은 지난달 26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2분기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8%, 낙관적으로 봐도 1.3% 수준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상반기 성장률은 2.7%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경기 부양 노력과 코로나19 안정에 힘입어 하반기에는 성장률이 6.4%까지 높아지고 이로써 올 한해 경제성장률은 4.7%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 믿을 건 '투자' 뿐...인프라 투자 확대 강조
실제로 중국 정부는 인프라 투자 확대를 강조하면서 관련 조치를 잇따라 취하고 있다. 투자와 함께 중국 경제 성장의 '3두마차'로 불리는 소비와 수출이 코로나19의 반복적인 확산에 더딘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중국 경제의 30%를 떠받드는 부동산 역시 여전히 침체 상태를 보이면서 남은 건 인프라 투자 밖에 없다는 인식이 커지는 분위기다.
일자리 안정과 서민 소득 보장에 있어서도 인프라 투자 카드를 내세우고 있다.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통해 소득 감소로 인한 민심 이반을 막겠다는 계획이다.
중국 관영 매체인 신화사(新華社)가 발행하는 징지찬카오보(經濟參考報)는 4일 "경제 하방 압력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투자의 경제 발전 지지력이 더욱 두드러졌다"고 지적했다.
국무원은 지난달 1일 열린 회의에서 정책은행의 인프라 프로젝트 대상 신용대출 쿼터를 종전 대비 8000억 위안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같은 달 29일 리커창(李克強) 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원 상무회의에서는 3000억 위안(약 58조 3700억 원) 규모의 금융채를 발행해 재원을 마련하고 이를 중점 인프라 투자에 쓸 것이라는 계획이 나왔다. 국무원은 특히 이번 투자 초점을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실직했거나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 계층을 지원하는 데 맞추기로 했다.
자오상(招商)은행 수석 경제학자 딩안화(丁安華)는 "하반기 수출의 GDP 기여도가 약화할 것이고 부동산 판매 및 투자 개선에도 더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소비 동력도 약해졌다"며 "인프라 및 제조업 투자의 '안정적 성장'의 중요 포인트가 되고 경제 성장에 대한 기여도 역시 더욱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통화정책 운용 공간이 더욱 제한되면서 하반기 부양 조치는 주로 재정정책 부문에서 나올 것"이라며 내년도 특수목적채권을 조기 발행하거나 인프라 투자 및 속도를 더욱 끌어올리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중국 정부는 지난 6월 한달간 1조9300억 위안 어치의 지방채를 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사태가 처음 발발한 2020년 5월의 1조 3000억 위안을 뛰어 넘은 것으로 월 발행액 기준 사상 최고치다.
지난달 발행된 지방채의 71%는 특수목적채권이다. 특수목적채권은 주로 인프라 투자 재원으로 쓰인다.
이와 관련 21스지징지바오다오는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중국 정부가 지난달 각 지방정부에 올해 배정된 특수목적채권 발행 쿼터를 6월 말까지 모두 소진할 것을 주문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 노무라 "美보단 中이 낫다"
중국의 성장률 목표 달성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크지만 미국보다는 상황이 낫다는 관측도 있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런민르바오(人民日報) 해외판인 하이와이왕(海外網)은 CNBC 등 미국 현지 매체 보도를 인용, 노무라증권 글로벌 시장 연구 책임자 수바라만(Rob Subbaraman)이 "각국이 긴축정책으로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주요 경제체들은 향후 12개월 간 침체에 빠지겠지만 중국 경제는 점차 빠르게 회복 중"이라고 밝힌 것을 전했다.
노무라증권은 이달 4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미국과 영국, 일본, 한국, 호주, 캐나다 등 주요 경제체가 침체에 빠지겠지만 글로벌 제2대 경제체인 중국은 예외"라면서 "온건한 통화정책을 실시하고 전염병 영향이 줄어들면서 중국 경제가 회복 중"이라고 분석했다.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