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부정승차 9만건 '증가세'
[서울=뉴스핌] 강명연 기자 =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빅데이터 등 정보기술(IT)을 활용한 부정승차 단속으로 열차 이용객 보호를 강화하고 있다.
코레일은 이달부터 'QR검표 시스템'을 개선해 반환된 승차권을 즉시 확인하는 방식으로 부정승차를 단속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빅데이터를 이용한 '철도서비스 부정이용 방지시스템'은 특허로 등록했다.
![]() |
한국철도 KTX [사진=한국철도] |
빅데이터 정보와 이용내역을 승무원과 실시간 공유해 검표에 활용하고 있다. 부정승차 사례가 많은 ▲출발 후 승차권 반환 ▲횟수 차감형 할인카드인 'N카드' 재발행 ▲정기승차권 반환 후 승차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다.
아울러 코레일은 신용카드 부가서비스 혜택을 얻기 위해 다량의 승차권을 구입한 후 환불하는 경우 신용카드사에 정기적으로 통보 조치하고 있다. 자넌 1월부터는 승차권 다량구매를 방지하기 위해 매크로를 활용한 이상 접속행위를 감시하고 이상접속시 비정형화된 숫자 입력을 유도하는 등 매크로 실행을 방지하고 있다. 내달 10일부터는 실수요 고객의 승차권 구매 기회를 보호하기 위해 다량의 승차권을 구매한 후 반환하는 경우에도 실시간 경고 알림을 보낼 예정이다.
부정승차는 올 상반기에만 9만여건에 달했다. 2020년 14만건, 2021년 17만건에 이어 증가 추세다.
코레일은 열차를 타고 휴가지로 이동하거나 관광열차와 여행상품 이용객 증가에 대비해 여름휴가 피크기간인 7월 말 8월 초(7월 25일~8월 5일) 및 광복절 연휴 기간 중 열차 104회를 증편해 7만2000석을 추가 공급하는 동시에 부정승차 집중 단속에 나설 예정이다.
구혁서 코레일 여객마케팅처장은 "정당한 승차권 구매는 즐거운 여행을 위한 첫 걸음으로 고객의 권익을 보호하고 올바른 철도 이용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부정승차 단속과 예방 조치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unsa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