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와 LGU+ 2위 쟁탈전으로 시장에 경쟁 불러와
AI 중심으로 조직 개편한 이통3사…내년은 AI 기반 경쟁 예상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2023년 통신업계의 화두는 가계통신비 인하였다. 올해 초 대통령이 이동통신3사가 과점하고 있는 통신 시장 구조를 '카르텔'로 지목하면서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통신업계가 분주하게 통신비 인하 방안 마련에 나섰다. 정체된 시장 성장과 통신비 인하 경쟁에 실적 악화를 우려하던 통신업계는 인공지능(AI)를 중심으로 체질 개선을 준비하고 있다.
이통3사 로고. [사진=뉴스핌DB] |
통신업계를 향한 정부의 압박은 연초부터 시작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월 비상경제민생안정회의에서 직접 금융과 통신 분야의 독과점 폐해를 줄이기 위해 실질적인 경쟁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통신시장을 기득권과 이권 카르텔이라고 거론한 것이다. 이후 공정거래위원회는 통신3사의 보조금 담합 등 현장조사에 착수했다. 주무부처인 과기정통부는 즉각 태스크포스(TF)를 가동했고 7월 통신시장 경쟁촉진 방안을 내놨다. 11월에는 통신비 부담 완화 방안을 발표했다.
◆5G 중저가 요금제 출시…통신비 완화 위해 제조사도 동참
방안의 핵심은 통신 경쟁 촉진을 통한 시장 구조 변화다. 과기정통부는 통신사와의 협의를 진행하고 5G 요금제 중간구간을 세분화했다. 사용자들의 데이터 사용량을 고려한 '중간요금제'를 신설하고 5G 요금제 중간구간 데이터 제공량 세분화와 알뜰폰 5G요금제, 선납형 온라인 요금제 출시 등이 진행됐다.
현재까지 이통3사가 보유하고 있는 요금제는 300여개를 훌쩍 넘는다. SK텔레콤은 20종에서 45종으로, KT는 22종에서 34종으로, LG유플러스는 22종에서 45종으로 보유 요금제를 늘렸다. LG유플러스는 3만원부터 시작하는 온라인 5G요금제 '너겟'을 출시하고 데이터 1GB부터 24GB까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편했다.
사용자 선택권한을 늘리기 위해 단말기에 무관하게 5G·LTE 요금제를 가입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됐다. SK텔레콤을 시작으로 KT, LG유플러스는 기존·신규 가입자에게 단말 종류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약관 개정을 진행했다. LG유플러스가 오는 1월 19일 준비 절차를 마치면 3사 모두 요금제 가입 제한 없는 교차가입을 지원하게 된다.
이어 1년 약정을 선택하는 가입자에게 추가적인 1년 약정 연장을 사전에 예약할 수 있는 '선택약정 25% 요금할인 사전예약제' 도입, 위약금 구조에 대한 설명과 안내문자 서비스 강화, 재난지역 주거시설 피해자의 유선통신·방송서비스 해지 위약금을 면제하는 등의 추가적인 대책도 마련됐다.
올해는 통신업계뿐 아니라 단말기 제조사까지 통신비 인하 방안에 동참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10월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여해 가계통신비 상승에 대한 질타를 받았다. 이후 삼성전자는 KT와 협업해 내놓은 중저가 단말 '갤럭시 점프3'를 비롯해 해외에서만 출시되던 '갤럭시 S23 FE(팬에디션)' 등을 출시하며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넓혔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의 결과 가계통신비 월평균 지출은 약 1% 감소(13.1만원→13만원)해 13만원 대를 유지하고 있다. 올해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전체소비지출은 전년동기 대비 약 3.9% 증가한 280만8000원을 기록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순으로 고착화되어 있던 통신시장 구조에도 균열이 생겼다. 1위 사업자인 SK텔레콤은 영업이익, 글로벌 5G 속도 1위 등 입지를 공고히 지켰다. KT와 LG유플러스는 무선가입자 회선 수에서 희비가 갈렸다. IoT 회선을 공격적으로 늘린 LG유플러스가 지난 9월 무선가입자 회선 수에서 KT를 제친 것이다. IoT 회선을 제외한 고객용 휴대폰 회선, 알뜰폰(MVNO)을 포함한 회선의 경우 여전히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순의 경쟁구도가 유지됐다.
KT는 이후 즉시 온라인 브리핑을 열어 LG유플러스의 2위는 IoT 회선일 뿐 실제 사람 가입자로 인한 변화는 아니라고 반박하며 기정통부에 가입자 기반과 IoT를 분리해 집계해달라고 요청했다. 업계에선 LG유플러스의 2위 진출이 1996년 LG유플러스의 전신인 LG텔레콤 창사 이래 처음이었던 점과 IoT 회선의 부가가치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을 들어 통신시장 경쟁 방안이 일부 성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한다. 내년에는 제4이통의 등장과 3만원대 저가 요금제 출시에 관심이 쏠린다.
◆통신비 인하 압박에 실적 악화…AI로 돌파구 마련
통신비 인하 규제에 따른 실적 악화는 통신업계의 또다른 고민거리였다. 통신3사의 3분기 실적 발표에 따르면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은 SK텔레콤이 2만9913원, KT 3만3838원, LG유플러스 2만7300원으로 나타났다. KT는 ARPU가 전년동기 대비 2.8% 증가한 반면, SK텔레콤은 2.3%, LG유플러스는 6.4% 감소했다. 5G 가입자 성장세 둔화와 함께 통신비 인하 압박이 매출에 영향을 끼치는 모습이다.
이통3사는 이전처럼 가입자 유치 경쟁으로 매출을 끌어올리기 힘들다는 점을 인지하고 올해 초부터 AI를 필두로 한 비통신 부문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9월 AI 피라미드 전략을 발표하고 자사의 AI 인프라를 바탕으로 한 AI 전환과 AI 전화 서비스로 이목을 끈 에이닷 서비스 고도화를 선언했다. AI 투자 비중을 향후 5년간 33%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어 KT가 10월 초거대 AI 믿음을 출시하며 3년 후 매출 1000억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우선 기존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매출을 확보하면서 믿음 시스템을 고도화하겠다는 전략이다. LG유플러스는 '익시젠'을 내년 상반기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익시젠은 LG AI연구원의 초거대 AI 엑사원을 LG유플러스의 통신, 플랫폼 기반 학습 데이터를 학습시킨 통신특화 LLM이다.
이통3사는 AI를 기반으로 조직개편도 새로 단행했다. SK텔레콤은 AI서비스사업부를 비롯한 4대 사업부 체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AI 솔루션 사업을 본격 추진할 '톱 팀(Top Team)'을 신설했다. KT는 AI 핵심 기술 역량을 강화를 위해 기술혁신부문과 CTO를 신설하며 기술 혁신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LG유플러스는 전병기 AI·데이터사이언스그룹장을 2년만에 전무로 승진시키면서 AI와 데이터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최고데이터책임자(CDO) 조직에 힘을 실었다.
bea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