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백악관에서 루비오 장관 만나 논의..."구금자 수갑 채우지 말고 출국 요구"
루비오 "트럼프가 韓 요구 이뤄지도록 협의 지시...한국 민감성 이해"
국무부 발표엔 북핵 언급만 소개...구금 근로자 내용 아예 없어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미국 이민 당국에 의해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들의 석방 문제와 향후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방미한 조현 외교부 장관은 10일(현지시간)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만나 이들이 신체적 속박 없이 신속히 귀국하고 향후 미국 재입국에 불이익이 없게 해달라고 요청했고, 이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들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외교부에 따르면 조 장관은 이날 백악관에서 루비오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면담을 하고, 미 당국에 의해 조지아주에 구금되어 있는 우리 국민 상황의 신속한 해결과 한미 정상회담(8.25.) 후속 조치, 한미 고위급 외교 일정 및 북한 문제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 |
조현 외교부 장관이 지난달 23일(현지 시간)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겸 백악관 국가안보실장과 만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외교부] 2025.08.23 |
조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제조업 부흥 노력에 기여하고자 기술과 노하우를 전수하기 위해 미국에 온 우리 근로자들이 연행되는 과정이 공개되어 우리 국민 모두가 하나같이 큰 상처와 충격을 받은 데 대해 깊은 우려를 전달했다.
특히 구금 노동자들이 범죄자가 아닌 만큼 수갑 등에 의한 신체적 속박 없이 신속하게 미국을 출국할 수 있도록 하고, 향후 미국 재방문에 어떠한 불이익도 받지 않도록 미 행정부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강력히 요청했다고 외교부가 전했다.
조 장관은 이와 함께 유사 사례 재발 방지를 위해 새로운 비자 카테고리를 만드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 논의를 위한 한미 외교-국무부 워킹 그룹의 신설을 제의했다.
이에 대해 루비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도 이재명 대통령과 도출한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있고, 이 사안에 대한 한국인의 민감성을 이해하며, 특히 미국 경제·제조업 부흥을 위한 한국의 투자와 역할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고 외교부는 소개했다.
외교부는 이와 함께 루비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측이 원하는 바대로 가능한 이뤄질 수 있도록 신속히 협의하고 조치할 것을 지시했다고 화답했으며 빠른 후속 조치를 위해 협력해 나가자고 밝혔다고 전했다.
외교부는 "오늘 면담에 따라 우리 정부는 현장에서 미측과 행정적 실무 협의를 적극 전개하고 있으며, 필요한 모든 절차를 마무리하여 국민들이 가장 빠른 시일 내 구금에서 해제되고 귀국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구금자들의 신속한 귀환과 이 과정에서 수갑을 채우지 말아달라는 한국 정부의 요구가 반영될지 주목된다.
앞서 미국 이민 당국에 의해 구금된 한국인 300여 명을 태우기 위한 대한항공 전세기 KE2901편은 이날 오전 조지아주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하지만 이날 새벽으로 알려졌던 석방이 갑자기 늦춰지면서 귀국 일정이 불투명해진 상태다.
한편 미 국무부가 이날 공개한 한미 외교 장관 면담 관련 보도자료에는 구금 노동자 관련 논의 내용이 빠져 있다.
국무부는 "루비오 장관은 8월 25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 간의 역사적인 한미 정상회담에 이어 오늘 조현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과 회담을 가졌다"면서 "양 장관은 한미 동맹이 지난 70여 년 동안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 안보, 번영을 떠받쳐 온 핵심 축임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루비오 장관은 미국이 한국의 대미 투자를 환영하며 이 분야에서 협력을 더욱 심화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고 소개했다.
국무부는 "루비오 장관과 조 장관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억지력을 강화하고, 공정한 방위비 분담을 확대하며, 한국의 조선업 및 기타 전략 산업 투자를 통해 미국 제조업을 활성화하고, 공정하고 상호적인 무역 파트너십을 촉진하는 미래지향적 의제를 통해 한미 동맹을 발전시켜 나가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소개했다.
또 "양측은 북한의 불법적인 핵 및 미사일 프로그램이 불안정을 초래하는 위협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공동의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kckim1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