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진단 시장 장기 고성장
2Q '어닝 서프라이즈'
59% 상승 예고
이 기사는 9월 16일 오후 3시04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전세계 암환자가 늘어나면서 암 진단 시장 역시 급속하게 커지고 있다.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포함한 매체들은 지난 2023년 전세계 시장 규모가 151억30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히고, 2032년 310억달러에 이르는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전망이 현실화된다면 관련 시장이 2024~2032년 사이 연평균 8.5%의 성장을 나타내는 셈이다.
또 다른 보고서에서는 2024년 시장 규모를 238억4000만달러로 파악하고, 2034년 708억달러까지 확대될 가능성을 예고했다. 연평균 11.5%의 성장을 기록하는 셈이다.
일부에서는 전세계 암 진단 시장이 2032년 수 조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수치가 크게 차이나는 이유는 시장 조사를 실시한 각 기관들이 설정한 검사의 범위가 제각각 다르기 때문이다.
암 진단을 위한 혈액 검사만 분리하면 시장 규모가 2025~2030년 사이 연평균 6.87% 성장해 2030년 160억4000만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시장 규모의 집계와 향후 전망이 상당한 편차를 보이지만 업계 전문가들은 주요국 전반에 걸쳐 암 발병이 크게 늘어나고 있어 관련 치료제 뿐 아니라 진단 장비에 대한 수요 역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인공지능(AI)을 포함한 기술 혁신 역시 암 진단 플랫폼의 향상과 정확도 개선에 힘을 실어주는 상황. 다중암 혈액 진단 분야만 연간 250억달러의 시장 기회가 발생할 가능성이 제시됐다.
![]() |
이그젝트 사이언스 주가 추이 [자료=블룸버그] |
이그젝트 사이언스(EXAS)는 이미 가파른 실적 향상을 연출하고 있다. 지난 8월 공개한 2분기 매출액은 8억1110만달러로 전년 동기에 비해 16% 늘어났다 이는 월가 전망치인 7억7319만달러를 크게 웃도는 결과다.
같은 기간 조정 주당순이익(EPS) 역시 0.22달러를 기록해 애널리스트 예상치인 0.05달러를 네 배 이상 앞질렀다. 조정 EBITDA(법인세, 감가상각, 이자 차감 전 이익) 역시 1억3820만달러로 집계, 투자은행(IB) 업계의 예상치인 1억870만달러를 27% 웃돌았다.
![]() |
콜로가드 키트 [자료=업체 제공] |
업체는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와 함께 연간 실적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매출액 전망치를 종전 31억달러에서 31억5000만달러로 높여 잡고, EBITDA 예상치 역시 4억6500만달러로 제시해 애널리스트 전망치인 4억3740만달러보다 크게 제시했다.
야후 파이낸스에 따르면 이그젝트 사이언스는 지난 5년간 연평균 21.1%에 달하는 매출 성장을 달성했다. 이는 헬스케어 섹터의 평균 성장률을 훌쩍 웃도는 수치다.
최근 2년간 매출 성장폭은 연평균 13%로, 5년 평균치를 밑돌지만 이 역시 견고한 시장 수요를 보여주는 결과라고 월가는 평가한다.
견고한 실적 향상에도 이그젝트 사이언스의 장단기 주가는 부진했다. 9월15일(현지시각) 나스닥 시장에서 업체의 주가는 53.43달러에 거래를 종료, 연초 이후 6.15% 하락했다. 같은 기간 두 자릿수의 상승을 기록한 나스닥 지수에 언더퍼폼한 셈이다.
업체의 주가는 최근 1년과 5년 각각 23.10%와 31.03% 떨어졌다. 5년간 연평균 21.1%의 매출 성장을 나타냈지만 투자자들은 '팔자'에 무게를 둔 셈이다.
투자은행(IB) 업계는 내재 가치에 비해 업체의 주가가 저평가 됐다는 데 한 목소리를 낸다. 캔서가드(Cancerguard) 출시를 앞두고 비중을 확대하는 전략을 추천하는 의견이 제시됐고, 일부 기관 투자자들은 업체의 주식을 포트폴리오에 편입했다.
크레이그 할럼은 보고서를 내고 이그젝트 사이언스에 대한 목표주가를 65달러에서 85달러로 상향 조정하고 '매수' 투자 의견을 유지했다. 업체의 주가가 최근 종가 대비 59% 상승할 가능성을 제시한 셈이다.
캔서가드의 본격적인 출시를 통해 업체가 매출 성장 속도를 높이는 한편 수익성도 끌어올릴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외형 성장과 함께 EBITDA 이익률과 현금흐름도 개선될 여지가 높다는 판단이다.
파이퍼 샌들러는 보고서를 내고 업체의 목표주가를 70달러로 제시하고 '비중 확대' 투자 의견을 유지했다. 2분기 월가 전망을 웃도는 실적이 비중 확대의 충분한 근거라는 주장이다.
대장암 스크린 시장에서 이그젝트 사이언스가 압도적인 시장 지배력을 구축했고, 비침습 검사 및 진단 쪽으로 시장의 무게중심이 옮겨가는 상황이 업체에 우호적인 여건을 형성한다고 파이퍼 샌들러는 강조한다.
한층 강화된 대장암 진단 키트인 콜로가드 플러스의 출시와 프리놈의 CRC 테스트 부문 인수를 통해 업체가 시장 입지를 더욱 견고하게 할 것으로 보고서는 기대했다.
이 밖에 최근 분기 1억5000만달러 가량 비용 절감도 업체의 수익성 전망을 낙관하게 하는 대목이라고 전했다.
캐너코드 제뉴어티는 보고서를 내고 업체에 '매수' 투자 의견과 목표주가 75달러를 유지했다. 분기 실적 호조와 연구개발(R&D) 성과가 매수의 근거로 충분하고, 업체간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지만 시장 자체의 외형 성장이 수익성을 오히려 향상시키는 모멘텀을 제공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TD 코웬은 보고서를 통해 이그젝트 사이언스의 목표주가를 75달러에서 66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투자 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지난 12개월 사이 12.6%의 매출 성장과 69%의 매출총이익률을 포함해 재무지표가 탄탄하지만 대장암 혈액 검사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다소 실망스러웠다며 목표주가 하향 조정의 이유를 설명했다.
기관들은 업체의 주식을 포트폴리오에 담는 움직임이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월가의 성장주 투자 아이콘으로 통하는 캐시 우드 ARK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 대표가 최근 이그젝트 사이언스와 더 트레이드 데스크, 핀터레스트 등 3개 종목은 '바겐 헌팅' 했다.
우드 대표는 최근 수 년간 인공지능(AI)과 자율 주행, 로보틱스 그리고 생명공학 혁신이 세상을 바꿀 게임체인저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최근 이그젝트 사이언스 매입도 저평가 매력과 성장 가능성에 대한 확신이 배경으로 작용했다는 해석이다.
shhw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