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신흥국 위기 '고금리+자본통제'가 처방전?…무시 못할 '부작용'도

기사입력 : 2014년01월29일 11:12

최종수정 : 2014년01월29일 11:30

터키 금리인상에 신흥국 잇따를듯…자본통제후 FDI 감소 등 부작용

[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신흥국 위기란 파고가 높아지자 해당국들이 적극 방어에 나섰다. 우선 '고금리' 처방이다. 인도에 이어 터키가 금리를 공격적으로 높였고, 다른 나라들도 따라야 한다는 무언의 압박을 받고 있다.

그리고 한동안 수면 아래 있었던 '자본 통제(capital control)'란 단어가 다시 떠오르고 있다. 자본 통제는 단기 투기성 자본이 들고 나면서 자국 경제를 위험에 빠뜨리지 않도록 하는 보호 장치. 지난 1997년 아시아가 외환위기에 처했을 때 당시 말레이시아가 이 카드를 썼던 것이 잘 알려져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자본 자유화를 요구했지만 말레이시아는 이를 거부했고 그 결과는 단기간으로 보면 성공적이었다. 우리나라가 IMF의 처방전대로 고금리 정책과 자본 자유화에 나섰다면 말레이시아는 오히려 금리를 내리고 링깃화를 달러화에 묶어 고정 환율제를 실시했으며 국내로 들어온 외환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함으로써 고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이번 위기에도 처방전은 고금리, 그리고 자본통제일까.

◇ 터키,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총리도 사실상 묵인

터키는 28일(현지시간) 전격적인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급락한 리라화 가치를 돌려놓기 위해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압박이 있긴 했지만 이런 큰 폭일 것이라고 예상한 이는 그리 많지 않았다.

터키 에르도안 총리는 선거를 앞두고 있어 금리인상에 반대해 왔지만 결국은 용인했다.(출처=비즈니스인사이더)
터키 중앙은행은 기준이 되는 1주일짜리 레포(Repo) 금리를 4.5%에서 10%로 5.5%포인트 인상했다. 하루짜리 대출 금리는 7.75%에서 12%로 올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8명의 이코노미스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은 금리가 인상되는 것은 확실하다고 봤지만 그 범위는 하루짜리 대출 금리를 기준으로 2~3%포인트일 것으로 예상했었다.

이 결정 이후 곧바로 리라화 가치는 달러화 대비 급등했다. 리라화 가치는 1월 이후 11% 이상 급락했으며 이날 중앙은행의 임시 통화정책회의에 대한 기대감으로 5% 가량 올랐었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총리는 3월 선거 등을 앞두고 있어 금리 인상에 기본적으로 반대해 왔다. 성장세를 끌어 올려야 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결정을 방관(?)했다는 것은 그만큼 이번 상황을 심각하게 보고 대처하는 것임을 의미한다.

◇ 신흥국들 금리 올리기 '러시'

금리 올리기를 통한 자본 통제는 이렇게 위기의 신흥국들에서 본격화하고 있다.

터키의 공격적 금리인상에 다른 신흥국들도 잇따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출처=가디언)
인도가 깜짝 금리 인상을 발표했고, 아르헨티나와 인도네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고물가과 저성장 딜레마에 빠져있는 나라들 역시 인상 압박을 받고 있다. 러시아는 지난 27일 루블화 거래 범위를 더 높임으로써 환 방어에 나섰다.

WSJ는 "터키의 금리인상이 전조가 될 것"이라면서 "경상수지 적자가 국내총생산(GDP)의 7%에 달할 정도로 많고 정치적인 리스크가 치솟고 있는 국가들은 투자자들의 신뢰를 다시 얻기 위해 이렇게 조치할 것이고 그렇다면 변동성이 커진 장세를 안정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진단했다.

소시에테 제너럴(SG)의 수석 이머징 마켓 이코노미스트인 베누아 안느는 "터키의 금리인상은 아마도 최근 전 세계에서 벌어진 매도세를 돌려놓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면서 "이번 조치가 매우 상징적이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 '고금리 + 자본통제'가 답?

하지만 금리 인상과 자본 통제가 당장의 효과, 그러니까 금융 시장을 안정시키고 핫머니의 유출을 잠깐 막는 데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 볼 때 위험이 클 수 있다. 

(출처=이코노미스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 등 선진국이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하하자 이자 많은 돈을 원하는 투기 자본들이 이머징 마켓으로 향했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신흥국들의 통과 가치가 절상됐고 이는 수출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궁극적으로 경제 성장에도 빨간 불이 켜지게 했다.

터키의 경우도 이 점이 우려되고 있다. 

터키의 2011년 경제 성장률은 8.9%에 달했지만 이듬해 2.2%까지 내려온 상황. WSJ는 터키 중소기업들의 경우 오랫동안 저금리의 수혜를 입어 왔는데 금리 인상으로 인해 수입 마진이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터키 중산층들 역시 경기가 좋을 때 받은 대출 이자가 급격하게 늘어나는 등 고통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지난주 아르헨티나 네스토르 키르츠네르 정부가 내렸던 달러화 매입 제한 조치도 자본통제 그 자체였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달러화 방출을 막겠다며 온라인 상거래를 연간 2회로 제한했다. 외환보유액이 289억달러로 7년래 최저치인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었다. 반발이 커지자 월 소득이 7200페소(900달러) 이상인 사람들에게 한 달에 2000달러씩 달러화를 매입할 수 있도록 허용했지만 여전히 혼란과 비난은 끊이지 않고 있다.

존스홉킨스 대학의 응용 경제학 교수인 스티브 행크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자본통제는 해당국이 외환보유액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는 신호"라면서"그건 나쁜 일이 곧 일어나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행크 교수는 이러한 자본통제는 그러나 자국 통화의 불법적인 거래를 폭증시킬 것이며 그건 해당국 경제에 숨어있는 비용(Lying price)을 발생시키게 된다고 지적했다.

IMF는 이번 달 내놓은 보고서에서 자본 유출에 대한 통제는 제한적으로만 효과적이라고 분석했다. 만약 해당국이 급격한 유출을 막아야 한다는데 대해 충분하게 이해하고 있다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

컬럼비아대학의 귈레모 칼보 경제학 교수는 자본 통제가 외국인직접투자(FDI)를 막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칼보 교수는 "장기적으로 자본 통제는 FDI와 상충될 것이며 이는 나라의 명성을 떨어뜨리고 FDI에 부정적이기 때문에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사진
정당지지율 국민의힘 43.2%·민주 41.4%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설날 전까지 10% 포인트(p) 가까이 차이를 보였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오차 범위 내 접전 양상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세를 타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꺾였고, 떨어지던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회복됐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자동 응답시스템) 조사해 7일 발표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43.2%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1.4%였다. 지난달 22일 발표된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5.3%p 하락한 반면 민주당은 2.6%p 상승하면서 양당 지지율 격차는 9.7%p에서 1.8%p로 줄었다. 조국혁신당은 4.5%로 지난조사보다 0.7%p 상승했고, 개혁신당은 1.5%로 0.2%p 올랐다. 진보당은 0.7%(+0.3%p), '기타다른정당' 2.3%(+0.6%p), '지지정당없음' 5.9%(+4.2%p), '잘모름'은 0.5%(+0.4%p)로 기록됐다. 연령별로 보면 18~30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을, 40~50대는 민주당을 가장 많이 지지했다. 만 18세~29세는 국민의힘 46.3%, 민주당 35.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9%, 진보당 1.2%, 기타다른정당 3.4%, 지지정당없음 3.3%, 잘모름 1.2%였다. 30대는 국민의힘 41.1%, 민주당 39.9%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6%,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7%, 잘모름 0.8%였다. 40대는 민주당이 55.9%, 국민의힘 29.0%, 조국혁신당 5.1%, 개혁신당 0.5%,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7.4%였다. 50대는 민주당 47.0% 국민의힘 35.3%, 조국혁신당 7.2%, 개혁신당 2.3%,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0.4%, 지지정당없음 6.4%였다. 60대는 국민의힘 53.7%, 민주당 35.7%, 조국혁신당 2.8%, 진보당 0.5%,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4%였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6.9%, 민주당 31.6%, 조국혁신당 1.9%, 진보당 1.0%,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8%였다. 국민의힘은 지역별로 서울과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광주·전남·전북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국민의힘 47.2%, 민주당 38.5%, 조국혁신당 1.4%, 개혁신당 0.4%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3%였다. 경기·인천은 국민의힘 43.3%, 민주당 39.7%,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1.5%, 진보당 0.9%, 기타다른정당 3.3%, 지지정당없음 6.0%, 잘모름 1.4%였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3.5%, 국민의힘 36.5%, 조국혁신당 4.5%, 개혁신당 0.8%, 기타다른정당 2.0%, 지지정당없음 2.6%였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59.4%, 국민의힘 33.3%, 조국혁신당 2.4%, 지지정당없음 4.9%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5.2%, 조국혁신당 9.0%, 개혁신당 1.8%, 기타다른정당 1.5%, 지지정당없음 8.1%였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60%, 민주당 28.4%,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2.8%, 통합진보당 1.5%, 기타다른정당 1.7%, 지지정당없음 1.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54.6%, 국민의힘 28.4%, 조국혁신당 6.9%, 개혁신당 3.5%, 기타다른정당 1.0%, 지지정당없음 5.5%였다. 성별로는 남성은 국민의힘 46.0%, 민주당 38.1%,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5%, 진보당 0.8%,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6.7%였다. 여성은 민주당 44.6%, 국민의힘 40.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0.5%, 진보당 0.6%, 기타다른정당 2.5%, 지지정당없음 5.1%, 잘모름 0.9%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체 면회를 가는 등 모습이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일부 중도층도 야권으로 이동하면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상승했다"며 "여론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