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레노버, 모토로라 인수] '또 큰 일 낸' 혁신경영의 달인, 양위안칭

기사입력 : 2014년02월03일 14:31

최종수정 : 2014년05월30일 16:06

[뉴스핌=조윤선 기자] 모토로라 사업 인수를 주도한 양위안칭(楊元慶) 레노버(聯想 롄샹) 최고경영자(CEO)가 이번 사업 인수합병이 기존 선발업체를 따돌리고  세계 최대 스마트폰 강자로 나서기 위한 '회심의 한 수'임을 시사해  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2일 뉴스 포털 왕이(網易) 등 중국 언론은 양위안칭 레노버 CEO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구글로부터 모토로라 모빌리티를 인수한 후 포춘지와의 인터뷰에서 "2005년 IBM의 PC브랜드인 '씽크패드(ThinkPad)'를 성공적으로 인수한 경험을 토대로 이번 모토로라 인수를 통해 세계 시장을 석권하겠다"며 "레노버의 사명은 스마트폰 업계 양대 강자인 삼성과 애플을 뛰어넘는 것"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양위안칭 CEO는 모토로라가 보유하고 있는 미국과 남미, 유럽 시장 점유율에다 레노버가 가진 막대한 중국 국내 시장 점유율까지 더해 2015년 1억대에 달하는 스마트폰을 판매할 것이라는 야심찬 목표도 제시했다.

이는 2013년 한 해 모토로라와 레노버가 판매한 스마트폰의 두 배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규모로 공격적인 목표 제시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세계적인 시장조사 기관 IDC에 따르면 2013년 레노버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4500만대, 모토로라는 1000만대로 집계됐다.

모토로라에 흥미를 갖게된 연유에 대해 양위안칭 CEO는 "2011년 1월 모토로라가 모토로라 모빌리티와 모토로라 솔루션으로 양분될 때 부터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는 2012년 모토로라가 구글에 인수된 이후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을 집으로 초대해 식사 대접을 하면서, 구글이 하드웨어 사업에 관심이 없다면 우리가 넘겨받겠다며 적극적으로 관심을 표명한 것으로 전해진다.

양위안칭 CEO는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이 2개월전 아직도 모토로라에 흥미가 있느냐고 물었고 나는 '물론이다'라고 답했다. 그 후 수차례 실리콘밸리를 방문하고 래리 페이지 구글 CEO의 자택에 초청을 받기도 하는 등 두달만에 양사간 모토로라 매각·인수건은 일사천리로 성사됐다"고 말했다.

그는 "레노버와 모토로라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양사가 가진 혁신적인 DNA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사업에서 승리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레노버는 모토로라 인수로 단숨에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3위 기업으로 도약했다. 하지만 레노버가 모토로라를 인수한 목적은 세계 시장 3위가 아니라, 모토로라가 레노버에 가져올 무한한 발전 잠재력이라고 중국 매체는 전했다.

시나닷컴 등 중국 매체는 레노버가 모토로라 인수를 통해 브랜드 가치와 기술력을 제고하는 동시에 미국, 남미 시장으로 판로를 확대할 수 있다며 레노버가 얻는 이점을 소개했다.

이처럼 모토로라 인수 성사와 더불어 2013년 세계 PC 시장 점유율 1위로 레노버 그룹을 성장시킨 일등공신은 양위안칭 CEO이다.

2001년 레노버 창립자 류촨즈(柳傳志) 회장으로부터 경영권을 넘겨받은 양위안칭 CEO는 레노버가 오늘날 340억 달러(약 37조원) 매출액을 달성, 전 세계 160여 개국에 2만여명의 직원을 보유한 글로벌 그룹으로 발전할 것이란 것을 상상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는 "1994년 레노버가 중국에서 PC 사업을 추진할 당시에만 해도 시장점유율이 3%에 불과했다. 1997년 중국 시장점유율 1위에 올라선 후 세계 3위권안에 진입하자는 목표가 생겼다"며 오늘날의 성공은 한 계단 한 계단 차근차근 쌓아올린 것임을 강조했다.

2005년 IBM PC를 인수한 레노버의 세계 시장점유율은 7%에서 2013년 17.7%로 훌쩍 뛰어오르며, 양위안칭은 2009년 설정한 세계 시장점유율 두 자리수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양위안칭 CEO는 레노버의 성공 비결은 '혁신'에 있다고 강조한다.

그는 "2003년 그룹 사명을 '레전드(Legend)'에서 '레노버(Lenevo)'로 변경했는데 'Le'는 '계승'을 뜻하며, 'novo'는 라틴어로 '새롭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레노버가 혁신이라는 DNA를 가진 그룹"이라고 소개했다.

양위안칭 CEO는 "과거 레노버는 '목표한 일은 반드시 해낸다(說到做到)'는 정신을 강조했지만 현재 '앞서 나간다(做先鋒)'는 시장 주도적인 경영 마인드를 강조하고 있다"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새로운 도전과 혁신을 시도하도록 장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양위안칭은 레노버의 성공은 물론 중국 IT 제조업계에 특출난 공헌을 세운 CEO로 평가되고 있다. 2012년 중국경제인물 선정, 2005년 포춘지로부터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25인 기업가'에 꼽히는 등 중국 IT 업계에서 최고의 CEO로 주목을 받고 있다.

1964년 안후이(安徽)성 허페이(合肥)에서 태어난 양위안칭은 1986년 중국 명문 대학인 상하이교통대학(上海交通大學)을 졸업한 후, 1989년 중국과학기술대학에서 컴퓨터 분야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바로 그 해 레노버 그룹에 입사했다.

2001년 4월 37세의 나이로 레노버 그룹 총재 겸 CEO를 맡게된 그는 2011년 11월 2일 류촨즈 전 회장에 이어 레노버 그룹 회장에 올랐다.

지난 2011년 포브스가 공개한 '중국 상장사 CEO 연봉랭킹'에서 양위안칭의 연봉은 7872만 위안(약 141억원)으로 홍콩 H 증시에 상장한 비국유기업 CEO 중 1위를 차지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미중 관세협상, 명백한 중국의 승리"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미중 관세협상에 대해 중국내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승리'를 거뒀다며 고무된 분위기다. 중국의 매체들은 13일 일제히 미중관세협상 결과를 보도하고 나섰다. 관영매체들은 '승리했다'는 표현을 자제하고 있지만, 협상이 성공적이었다는 논조를 유지했다. 중국의 SNS상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중국이 승리했다는 반응 일색이다.  12일 미중 양국의 협상단은 스위스 제네바 공동성명을 통해 미국은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145%에서 30%로, 중국은 미국에 대한 관세율을 125%에서 10%로 낮추기로 했다. 공동성명에서 양국은 추가적인 협상을 벌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5년전인 2020년 1월 타결됐던 미중 관세협상 결과와는 차이가 크다. 당시 중국은 2000억달러 규모의 미국 제품 구매할 것을 약속했고, 강도 높은 지재권 보호 , 금융 서비스 시장 개방, 환율 투명성 강화 등을 보장했다. 이에 대한 대가로 미국은 관세를 일부 인하했다. 하지만 이번 미중 관세협상에서는 양국이 모두 동등하게 115%의 관세를 취소하거나 연기했다. 중국의 미국산 물품 구매나 시장개방에 대한 약속은 없었다. 양보 일변도였던 5년전과 달리 이번 미중 관세협상은 공평하고 평등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미국 매체 블룸버그는 "이번 미중 무역협상에서 중국은 기대할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었고, 미국은 끝내 양보했다"며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강대강 전술이 효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 관찰자망은 "양국의 제네바 경제·무역 회담 공동성명 발표는 중국이 무역 전쟁에서 거둔 중대한 승리이자 중국이 투쟁을 견지한 결과"라며 "미국의 무역 괴롭힘에 맞서 항쟁할 용기가 조금도 없는 국가들과 비교하면 이번 승리의 무게가 더 무겁다"고 논평했다. 광다(光大)증권은 13일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국제 무역 투쟁에서 패권을 두려워하지 않고 굳건하게 맞선 결과 단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은 가장 먼저 미국에 대등한 보복성 관세를 부과하는 한편 국내적 국제적으로 대응조치를 내놓았다"고 덧붙였다. 자오상(招商)증권은 "중국은 미국과 공평하고 평등한 협상을 진행했으며,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고 호평했다. 이어 "중국은 우호적인 국가들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중국 경제의 대미 의존도를 낮췄고, 기술 진보와 군사력 확충 등이 이뤄졌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이같은 성과를 냈다"고 분석했다. 여론이 지나치게 고무되는 것을 경계하는 논설기사도 나왔다. 신화사는 '중미 경제무역 회담이 세계 경제 압박을 낮추고 신뢰를 증진시켰다'라는 제목의 논설에서 "양국의 대화 재개는 기쁜 일이지만, 양국간의 의견 차이 해소는 복잡하고 어려우며 장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오성홍기와 미국 성조기 [사진=로이터 뉴스핌] ys1744@newspim.com 2025-05-13 09:53
사진
대법 "대법원장 청문회 출석 곤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대법원은 조희대 대법원장과 대법관들이 오는 14일 예정된 '사법부의 대선개입 의혹 진상규명 청문회'에 출석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국회에 전달했다. 대법원 관계자는 12일 기자단 공지를 통해 "재판에 관한 청문회에 법관이 출석하는 것은 여러모로 곤란하다는 입장"이라며 "출석 요청을 받은 16명의 법관 모두 '청문회 출석요구에 대한 의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조희대 대법원장. [사진=뉴스핌DB] 앞서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지난 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에서 무죄를 선고한 항소심 판결을 파기하고 유죄 취지로 사건을 파기환송했다. 민주당은 대법원이 이 후보 사건을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심리·선고해 사실상 대선에 개입했다며 대법원장에 대한 청문회를 열기로 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지난 7일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청문회 실시계획서 채택과 증인·참고인 출석 요구 등을 의결했다. 청문회 증인으로는 조 대법원장과 판결에 관여한 대법관 11명이 전원 채택됐으며 대법원 수석·선임재판연구관, 대법원장 비서실장, 법원행정처 사법정보화실장 등 판사들도 포함됐다.  shl22@newspim.com 2025-05-12 18:2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