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 민선7기 극저신용대출 이용자들과 간담회...제도 개선 약속
연체율 74% 오보, 실제 38% 반박...채무조정·일자리 연계 지원 계획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민선7기 시절 이재명 대통령이 도입한 '극저신용대출'을 "가뭄의 단비"라 규정하며 민선8기에서도 제도를 개선·확대해 '극저신용대출 2.0'으로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 |
김동연 경기도지사 22일 극저신용대 출이용자와 간담회. [사진=경기도] |
김 지사는 22일 오전 경기도청 집무실에서 극저신용대출 이용자 3명을 초청해 간담회를 열고 "극저신용대출은 사회가 내밀 수 있는 마지막 손 같은 제도였다"며 "어려운 서민들에게 삶의 버팀목이 됐다"고 강조했다.
◆ 손주 돌보던 66세 조부, "천 원 없어도 버틸 수 있었던 마지막 손길"
간담회에 참석한 66세 김광춘 씨는 손주 둘을 홀로 키우던 조손가정 가장이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한쪽 눈과 다리가 불편해 생계가 막막했지만, 경기도의 극저신용대출 50만원이 '긴급자금'이 돼 최악의 위기를 견뎠다.
김 씨는 "슈퍼에서 천 원이 없어 애들 간식조차 못 사줬다"며 "도에서 손 내밀어 준 덕분에 두 달을 버텼고, 결국 기초생활수급자로 지정돼 지금은 숨통이 트였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9월 18일 50만원을 모두 상환했다.
51세 A씨는 5000만 원 빚으로 신용회복위원회 워크아웃을 진행 중이던 중, 생활비와 월세로 막막했던 시기에 200만원 대출을 받아 버틸 수 있었다.
그는 경기도 버스기사 양성사업에 연계돼 재기에 성공, 대출 만기 1년 전 모두 상환했다. A씨는 "나라가 다시 살 기회를 줬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고마움을 전했다.
![]() |
김동연 경기도지사 22일 극저신용대 출이용자와 간담회. [사진=경기도] |
48세 B씨 역시 코로나로 실직 후 다중 채무에 허덕이다 50만원으로 생계를 이어갔다. 그는 "마을버스 취업으로 다시 일어설 수 있었고, 극저신용대출이 큰 힘이 됐다"고 말했다.
◆ 상담 통해 '돌봄·일자리·기초수급' 연계..."연체율 74%? 사실은 38%" 오보 논란 해명
경기도는 대출 전후 복지상담을 의무화해 단순 대출을 넘어 제도·일자리·돌봄 지원을 연계했다.
80세 독거노인은 대출금으로 전동휠체어를 구입해 '고립에서 벗어난 삶'을 얻었고 한부모 여성은 직업훈련과 국민취업지원제도에 연계돼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
김 지사는 "작은 돈이지만 이 제도를 통해 기초생활수급자 지정, 일자리·돌봄 연결 같은 '사회적 회복'이 가능했다"고 평가했다.
김 지사는 최근 일부 언론이 제기한 '연체율 74%' 보도에 대해 "재약정(35.3%)을 연체에 포함시킨 명백한 오보"라며 "실제 연체율은 38.3%이고, 문자 접촉 등으로 계속 줄고 있다"고 반박했다.
현재 완전상환자는 전체의 24.5%이며, 상당수는 아직 만기가 도래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 |
김동연 경기도지사 22일 극저신용대 출이용자와 간담회. [사진=경기도] |
◆ "극저신용대출 2.0으로 금융 취약층 보호"
민선7기 당시 11만 명 이상이 혜택을 받은 극저신용대출은 불법 사금융 피해 차단에도 효과가 있었다.
김 지사는 "살면서 아주 작은 도움이라도 절망 속에선 생명을 살리는 단비가 된다"며 "극저신용대출 2.0으로 다시 한번 서민들에게 기회를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경기도는 금융지원과 함께 채무조정·상담·취업 연계를 강화해 금융취약층의 '사회적 회복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한다는 방침이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