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코텍 자회사 제노스코, ROCK2 억제제 FDA에 임상1상 IND 제출
독자 플랫폼 GENO-K으로 발굴한 후보물질…폐 섬유증 치료제 개발 가속화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혁신신약 개발기업 오스코텍 자회사 제노스코(대표이사 고종성∙김세원)는 특발성 폐 섬유증(IPF) 치료제 후보물질 GNS-3545에 대한 임상시험계획 승인신청서(IND)가 미국 식품의약국 (FDA)으로부터 최종 승인됐다고 29일(미국 현지시간) 밝혔다.
제노스코가 약 2년 간 독자적으로 연구개발한 신약 후보물질 GNS-3545는 섬유화를 유발하는 핵심 단백질 ROCK2 카네이즈를 선택적으로 억제한다. 해당 후보물질은 비소세포성폐암 치료제 레이저티닙(상품명 렉라자) 개발에 기반이 된 제노스코의 GENO-K 연구개발 플랫폼을 통해 발굴된 네번째 후보물질이다. 제노스코는 연내 임상시험에 착수하여 혁신 치료제 개발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제노스코가 주목한 특발성 폐 섬유증은 생존률이 낮은 치명적인 희귀 난치성 질환이다. 현재 FDA의 승인을 받은 치료제는 단 2종에 불과하며, 근본적인 치료가 아닌 병의 진행을 늦추는 역할을 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반면 제노스코의 GNS-3545는 섬유화 핵심 단백질 억제는 물론, 질병으로 인해 이상 발현된 유전자를 정상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전임상 결과를 갖고 있다.
![]() |
오스코텍 로고. [로고=오스코텍] |
고종성 제노스코 대표는 "제노스코가 독자적으로 연구개발 진행 중인 GNS-3545는 미충족 수요가 높은 특발성 폐 섬유증 시장의 게임 체인저((game changer)로 올해 안에 임상 1상에 돌입하여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며 "이번 임상1상 시험으로 GNS-3545의 안전성 및 내약성을 확인하고 향후 글로벌 제약사와의 전략적 협력 및 기술이전을 통해 GNS-3545의 상업화 가능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노스코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임상 확장과 해외 제약사와의 전략적 협력, 기술이전을 통해 파이프라인 상업화 가능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향후 10년간 총 5개의 신약 허가를 확보하고, 이 중 최소 1개는 직접 상업화해 성장 동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