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직생활 대부분 금융·부동산 대책마련 '영원한 대책반장'
[세종시=뉴스핌 곽도흔 기자]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차기 정부에서 글로벌 위기관리를 위한 경제부총리로 적합하다는 이야기가 관가를 통해 나오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박근혜 정부가 글로벌 경제위기 속에서 출범하는 만큼 경제사령탑인 경제부총리도 화합형보다는 위기를 관리할 수 있는 실무형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다.
'위기관리형' 경제부총리 후보로 거론되는 김석동 위원장의 또 다른 이름은 '영원한 대책반장'이다.
1953년 부산에서 태어난 김 위원장은 경기고등학교,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1980년 행정고시 23회로 공직생활을 시작했다.
김 위원장의 공직생활은 말 그대로 위기의 연속이자 대책반의 연속이었다. 1990년 재정경제원에서 5.8부동산 특별대책반장을, 1993년에는 금융실명제대책반장을 지냈다. 1997년 외환위기 당시에는 재정경제원 외화자금과장으로 환율과 외환보유고 등 실무를 담당했다.
이후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장과 차관보, 2007년 금융위기 당시에는 1차관까지 역임했다. 차관에 오르기까지 금융 및 부동산 시장 등에 문제가 터지면 뒤얽힌 실타래를 풀어내는 그를 관가에서는 '영원한 대책반장'이라 불렀다.
![]() |
지난해 10월4일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금융위원회 신청사 현판 제막식에서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스핌 DB) |
김 위원장은 재야에 있을 때도 이규성 전 재정경제부 장관 등 국내외 학계·관계·업계의 외환부문 최고 전문가들과 함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 외환시스템의 중장기 발전방안' 보고서를 펴내기도 했다.
특히 지난해 6월 김 위원장은 간부회의에서 "이번 유럽사태는 앞으로 자본주의 역사 흐름속에서 1929년 대공황에 버금가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말해 화제가 됐다.
'대공황에 버금가는 큰 영향', '대공황 이후 가장 큰 경제적 충격'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다소 보수적일 수밖에 없는 금융당국 수장이 직접적으로 언급하기에는 발언수위가 높다. 그만큼 현 위기에 대한 인식이 그 누구보다 강하다.
국무총리가 '통합형'이 될 전망이 높은 만큼 경제위기를 헤쳐나갈 경제부총리로는 김석동 위원장이 제격일 수도 있다.
다만 최근 청와대에 차기 대통령에게 짐이 되기 싫다며 새 정부 출범에 맞춰 자리에서 물러나겠다고 사의를 밝힌 것으로 알려져 변수는 있다.
또 워낙 화법이 '돌직구' 스타일이라 금융권 등에서 그에게 반감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는 점도 단점이다.
재정부 관계자는 "미국 재정절벽이 일부 해소되는 등 글로벌 위기가 완화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위기는 계속 잠복돼 있는 상태"라며 "정책 추진력, 후배들의 신망, 위기관리전문가인 김석동 위원장이 제격일 수도 있다"고 귀띔했다.
[뉴스핌 Newspim] 곽도흔 기자 (sogoo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