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산업 자동차

속보

더보기

소형 SUV 열풍 주역…2030세대 사로잡는 쌍용차 티볼리

기사입력 : 2019년04월17일 18:40

최종수정 : 2019년04월17일 22:12

레저‧여행 즐기는 2030세대 공략 성공
고객이 직접 참여하는 이벤트도 적극

[서울=뉴스핌] 전민준 기자 = ‘나의 첫 차 티볼리’, ‘우리 가족 첫 번째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20대 초반 여성의 첫 차’, ‘나의 첫 레저용 SUV’ 등등. 

지난 2015년 국내 최초의 소형SUV로 출시한 쌍용자동차 티볼리. 티볼리는 최근 레저와 여행 등 자신만의 라이프 스타일을 즐기는 2030세대와 찰떡궁합을 자랑하면서 4년째 높은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티볼리 에어.[사진=쌍용자동차]

쌍용차는 지속적인 상품성 개선을 통해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킨 걸 티볼리의 인기비결로 꼽는다.

17일 쌍용차에 따르면, 티볼리는 올 들어 3월까지 국내에서 9391대가 팔린 것으로 집계됐다.

티볼리의 대항마로 불리던 현대자동차의 코나는 전년 대비 25.5% 하락한 8173대를 기록했다. 쌍용차 관계자는 “이번 통계는 코나 EV 모델(2772대)을 포함한 누적 집계에서도 티볼리가 앞섰기 때문에 더욱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통상 자동차 업계에서는 신차효과를 3~6개월로 보고 있다. 그러나 티볼리는 매년 실용성과 상품성을 개선한 모델을 출시, 자체적 신차효과를 발생시키며 꾸준한 판매 실적을 유지하고 있다.


실제 티볼리는 2015년 1월 출시, 첫 해에만 내수 총 4만5021대를 판매, 국내 소형 SUV시장의 흥행 돌풍을 예고했다.

이듬해인 2016년엔 5만6935대, 2017년 5만5280대로 2년 연속 5만 대 이상 판매, ‘신차효과’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꾸준한 판매량을 보여 왔다.

쌍용차 측은 지속적인 상품성 개선을 인기 비결로 든다.

티볼리는 가솔린 모델로 먼저 출시된 이후, 같은 해 7월 디젤 모델과 동급 최초의 4륜구동 모델이 추가됐다.

출시 다음 해인 2016년 3월에는 공간성을 강화한 롱보디 모델인 티볼리 에어 모델 출시로 그 상품성을 인정받았고, 2017년 업계 최초로 주문 제작형 SUV인 티볼리 아머를 출시했다.

쌍용차 관계자는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혀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2030 소비자의 마음을 잡았다”고 전했다.

티볼리 에어.[사진=쌍용자동차]

소비자 접점을 늘리는 마케팅 부분에서도 티볼리는 독보적이다.

티볼리는 68%에 육박하는 여성 티볼리 유저들을 위한 특별한 이벤트들을 진행하며 티볼리의 여성 오너들을 위한 마케팅 분야를 개척해왔다.

쌍용차는 SUV본연의 기능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이 직접 몸으로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행사 역시 진행했다.

2018년 4월 진행된 티볼리 오너 초청 나이트파티 ‘청춘예찬’은 2030티볼리 오너들을 위해 1박 2일 일정으로 1000명이 넘는 티볼리 오너들이 10대 1이 넘는 경쟁률을 뚫고 참여하고 있다.

작년 10월에는 충북 제천에 쌍용자동차 오너들을 위한 프라이빗 ‘오토캠핑빌리지’를 개장했다.

여기선 매월 둘째 주 토요일을 쌍용차 가족의 이름으로 하나 되는 '쌍용패밀리데이(S.F.D)'로 지정하고 핼러윈 호러 캠프, 포레스트 겨울캠프, 크리스마스 미러클 캠프, 푸른 밤 별빛캠프 등 쌍용자동차 오너만을 위해 매달 다른 컨셉의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쌍용자동차 관계자는 “티볼리가 소형 SUV의 신화로 거듭날 수 있었던 것에는 소비자의 니즈에 발맞추기 위한 노력들이 있었다”며, “티볼리의 브랜드 가치를 더욱 높이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minjun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공천개입 의혹' 윤상현 의원, 김건희 특검 출석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공천 개입 의혹을 받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오전 소환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 사무실로 출석하고 있다. 2025.07.27 mironj19@newspim.com   2025-07-27 09:41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