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플레이션' 대응하겠다"는 슈카 '빵집' 대기줄만 1시간
한국 식빵 1개 돈으로 일본서 2개…"원재료 등 구조 문제"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슈카가 한국 빵값이 비싸다고 했는데, 이에 동의해요. 하지만 국내 인건비나 자릿세 같은 걸 감안해야 한다는 주장도 일리가 있고요"
1일 서울 성동구 성수동 'ETF 베이커리' 팝업 스토어에 방문한 김 모 씨(45세·남)는 이같이 말했다. 김 씨는 "빵을 싸게 판다는 소식을 듣고 분당에서 1시간이 걸려 왔는데, 와서도 대기 줄에서 1시간을 기다렸다"며 굵은 땀을 흘렸다.
![]() |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구독자 360만명을 보유한 경제 유튜버 '슈카월드'가 베이글과 소금빵 등을 최저 990원에 판매하는 팝업스토어 'EFT 베이커리'를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열었다. 사진은 1일 오후 1시 무렵 이 빵집에 입장하기 위해 사람들이 줄지어 대기하는 모습. 2025.09.01 chogiza@newspim.com |
이 빵집은 36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경제 유튜버 '슈카월드'(슈카)가 베이글과 소금빵 등을 최저 990원에 판매하는 팝업스토어다.
오전 11시, 오후 3시 시간별로 빵이 생산되는데, 오후 1시 무렵 입장 대기만 걸어 놓는 데도 1시간 가량을 기다려야 할 정도로 북새통을 이뤘다.
이 빵집은 프랜차이즈 빵집 보다 가격이 저렴해 일부 자영업자들이 '시장을 왜곡한다'며 반발하는 반면 소비층에서는 환영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보통의 프랜차이즈 빵집 소금빵과 베이글은 각각 3000원 가량이지만, 이 빵집에서는 각각 990원에 판매하고 있다.
이 외에도 식빵‧무화과 베이글 1990원, 명란 바게트 2450원, 오메기 단팥빵 2930원, 표고버섯 트러플 치아바타 3490원, 복숭아 케이크 2호 1만8900원 등 다른 빵집에 비해 저렴하다.
비용 절감이 가능한 이유에 대해 슈카는 "원재료 산지 직송으로 유통비를 절감하고, 빵 모양과 포장을 단순화했다"라며 "빵값을 '마진율'이 아닌 '마진액'으로 계산해 원가가 상승하더라도 소비자가에는 반영이 덜 되게끔 조정했다"라고 설명했다. 또 "'빵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이번 기획을 마련했다"라고 덧붙였다.
빵플레이션은 빵과 인플레이션을 합성한 신조어로 국내 빵값이 매년 급등한 것을 빗댄 단어다.
실제 국가·도시 비교 통계 사이트 넘베오에 따르면 한국의 식빵(500g) 가격은 평균 약 3.06달러(약 4200원)인 데 반해 일본은 1.2달러(약 1700원), 프랑스는 1.19유로(1900원)였다. 한국에서 1개의 식빵을 살 돈으로 일본에서는 2개를 사고도 돈이 남는 셈이다.
![]() |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구독자 360만명을 보유한 경제 유튜버 '슈카월드'(이하 슈카)가 베이글과 소금빵 등을 최저 990원에 판매하는 팝업스토어 'EFT 베이커리' 모습. 2025.09.01 chogiza@newspim.com |
이처럼 한국 빵값이 비싼 이유는 높은 인건비와 원재료 가격, 수입 의존도가 높은 밀 사용으로 인한 가격 변동 등이 꼽힌다.
지난해 12월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제빵산업 시장분석 및 주요 규제 경쟁영향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제빵업계 인건비는 전체 원가의 28.7%였다. 이는 식품 제조업 평균인 8.1%의 3배를 웃도는 수치다.
밀, 설탕, 달걀, 버터 등 제조원가 대비 원재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51% 정도였는데, 이 중 밀가루와 설탕의 국내산 사용 비중은 각각 0.2%와 0%에 그치며 사실상 이 둘 다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었다. 국제 곡물 가격과 환율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나머지 한국에서 수급받는 원재료 중 우유와 달걀은 한미일 중 가장 높은 가격으로 유통되고 있었다.
우유 100ml당 한국은 311.6원인 것에 비해 미국은 145.8원, 일본은 231.7원에 불과했다.
달걀은 개당 한국이 688.3원인 데 반해 미국 438.6원, 일본 247.1원으로 한국이 큰 폭으로 비쌌다.
이 때문에 자영업자들은 원재료 가격 등 구조를 외면한 채 한국 빵값이 과도하게 비싸다고 비치는 상황에 대해 불편함을 드러냈다.
반면 일회성 이벤트로 프랜차이즈 빵집 등 자영업자들이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날 ETF 베이커리를 방문한 박순미(25·여) 씨는 "어차피 팝업으로 한정된 시간에 실험적으로 운영하는 형식이지 않냐"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방문객 김효식(31·남) 씨는 "빵값이 싸서 온 것이라기보다 슈카라는 사람의 팬심으로 왔다"며 "자영업자들이 우려할 만한 일인지는 잘 모르겠다"고 했다.
한편 슈카는 지난달 31일 라이브 방송을 통해 "싼 빵을 만들면 좋아할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 죄송하다"라면서 "자영업자를 비난한 적은 한 번도 없다. 나도 자영업자다"라고 해명했다. 이어 "빵값의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려던 것인데 다른 방향으로 해석돼 안타깝다"라고 밝혔다.
chogi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