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후강퉁종목] 中 1위증권사 추천 프리미엄급 A주 30선

기사입력 : 2014년10월06일 16:45

최종수정 : 2014년10월06일 17:19

초상은행 바오리디찬 상하이자동차 창장전력...

[편집자주] 이 기사는 10월 2일 16시 40분 뉴스핌의 프리미엄 뉴스 ′안다(ANDA)′에서 표출한 기사입니다.

[뉴스핌=조윤선 기자] 후강퉁(滬港通 상하이-홍콩 증시 주식 연동 거래제도) 시행으로 그동안 개인들의 직접 투자가 어려웠던 본토 A시장이 열리게 되면서 후구퉁(滬股通 외국자본의 상하이 증시 투자) 종목에 외국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본토 상하이 증시에서 군수(방위산업)와 중의약, 바이주(고량주) 종목을 홍콩 증시에는 없거나 극히 적은 희소종목으로 분류하고, 후강퉁이 개통되면 이들 종목이 외국투자자들의 각광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래픽: 송유미 기자.
◇군수 안보 관련 종목, 정책 지원으로 성장성 '맑음'

중국 증권일보(證券日報) 시장연구센터에 따르면, 신은만국(申銀萬國)증권 업종분류 가운데 군수산업 29개 상장사 주가가 7월 22일부터 9월말까지 40%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중국선박(中國船舶, 62.89%), 훙두항공(洪都航空 62.76%), 쓰촹전자(四創電子, 62.69%), 청파커지(成發科技, 61.53%),중항헤이바오(中航黑豹, 60.34%), 항톈둥리(航天動力, 45.49%) 등 종목 주가 상승폭이 가장 컸다.

특히 중국선박은 올 상반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대비 2배 넘게 증가하는 등 양호한 영업실적을 달성해 눈길을 끌었다. 중국선박의 올 상반기 순이익은 1억1967만 위안(약 206억원), 2013년 상반기 순이익은 5573만 위안(약 96억원)이었다.

중국선박은 중국 최대 조선업체로 자회사 와이가오차오(外高橋)조선의 선박건조 완공량은 6년 연속 중국 최고인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선박의 정식 회사명은 '중국선박공업그룹'. 중앙정부 직속의 국유 대기업으로 중국 10대 방위산업 그룹 중 하나로 분류되고 있다.

화룽(華融)증권은 복잡한 국제정세와 동북아 지역의 영토갈등을 둘러싼 긴장감, 중앙정부의 군수산업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향후 중국 군수산업이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 관련 종목을 유망주로 추전했다.

◇중의약, 제약업계 성장 둔화 속 '나홀로 성장세'

중국 신은만국증권의 왕성(王勝) 애널리스트를 비롯한 상당수 전문가들은 A증시에만 있는 희귀종목인 중의약 종목에 주목할 것을 제안했다.

신은만국증권의 업종 분류에서 중의약 상장사 56개 종목의 주가가 7월 22일 이후부터 9월말 까지 적게는 30% 이상, 많게는 60% 넘게 폭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타이지그룹(太極集團, 66.63%), 첸진약업(千金藥業, 45.08%), 푸런약업(輔仁藥業, 35.85%) 등 종목이 포함된다.

보하이(渤海)증권은 경제성장 둔화 등 여러 요인 때문에 제약산업 성장세도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중의약은 전반적으로 영업수입이 증가하는 추세라며, 향후 업계 성장성은 여전히 밝다고 진단했다.

특히 앞서 주가가 큰 폭 하락세를 나타냈지만, 영업실적이 양호한 중의약 관련 종목에 주목할 것을 조언하면서 유망 종목으로 톈스리(天士力), 동인당(同仁堂), 캉위안약업(康緣藥業), 둥어아교(東阿阿膠) 등 종목을 추전했다.

◇고량주, 구조조정으로 새로운 투자기대

시진핑(習近平) 정부 출범이후 부정부패 척결 바람에 된서리를 맞았던 중국 전통술 바이주(白酒 고량주) 종목도 A증시 희소종목으로 각광을 받을 전망이다.

신은만국(申銀萬國)증권 연구원 덩젠(鄧建)은 "바이주 종목은 홍콩에는 없는 희귀한 종목"이라며 "현재 본토 바이주 상장사들이 구조조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주가 상승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구이저우마오타이(貴州茅台)는 바이주 대표 종목으로 수익배당과 현금흐름 상황이 모두 양호하다"며 "해외투자자들에게 각광을 받을 것으로 예상돼 후강퉁에 따른 직접적 수혜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이를 반영하듯 신은만국증권 업종 분류 중, 15개 바이주 상장사 종목 주가가 7월 22일 이후부터 9월말 까지 15%~20% 넘게 급등했다.

이 기간 퉈파이서더(沱牌捨得) 주가가 24.49%나 올라 가장 큰 상승폭을 나타냈고, 한 때 주가가 반토막났던 수정방(水井坊 수이징팡)도 같은 기간 주가가 15.47% 폭등했다.

바이주 종목은 영업실적 측면에서 여전히 공무집행비인 삼공경비(三公經費) 축소로 매출이 부진한 상황이지만, 일부 상장사의 실적 하락폭이 줄어들고 있어, 하반기에 바이주 업계의 터닝포인트가 도래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됐다.

실제로 올 상반기 실적보고서에서 구이저우마오타이, 진스위안(今世緣), 이리터(伊力特) 등 바이주 상장사의 실적 하락폭이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창장(長江)증권은 바이주 종목 가운데서도 중산층을 겨냥한 브랜드를 개발하는 등 사업 혁신을 추구하고 인수합병을 통해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는 상장사에 주목할 것을 제안, 구이저우마오타이, 산시펀주 등 종목을 추천했다.

한편 중국 본토 업계 1위 증권사인 중신(中信)증권은 상하이와 홍콩 양 시장의 주가 차이, 희소성, 영업실적, 배당금, 시가총액 등 요소를 고려해 후구퉁 유망주로 △칭다오하이얼(青島海爾) △창장전력(長江電力) △상하이자동차그룹(上汽集團) △다친철로(大秦鐵路) △구이저우마오타이 △초상은행(招商銀行) △바오리디찬(保利地產) △중국베이처(中國北車) △중항전자(中航電子) △중국궈뤼(中國國旅) 등 10가지 종목을 꼽았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 신청 접수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는 17일부터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사업' 신청 접수를 받는다고 9일 밝혔다. 배달·택배비 지원사업은 정부가 지난해 7월 발표한 '소상공인·자영업자 종합 대책'의 후속 조치 일환이다. 고물가·고금리 등으로 가중된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이들의 배달·택배비를 올해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배민라이더스 배달기사 노조가 23일 오후 서울 송파구 배달의민족 본사 앞에서 기본배달료 인상, 오토바이수당 및 픽업거리 할증 도입을 촉구하는 집회를 마치고 오토바이로 행진을 하고 있다. 2021.12.23 pangbin@newspim.com 지원 대상은 ▲2023년 또는 지난해 연 매출액이 1억400만원 미만이며 ▲배달·택배 실적이 있고 ▲신청일 기준 폐업하지 않은 개인·법인 사업자다. 또 배달·택배를 주업으로 하는 업종과 소상공인 정책 자금 제외 업종을 제외한 전 업종을 지원 대상으로 한다. 지원 금액은 최대 30만원으로 1인당 1개 사업체만 신청해 지원받을 수 있다. 배달·택배비는 지난해 실적과 과거 증빙자료 등을 보관하지 않거나 확인이 어려운 경우를 감안해 올해까지의 실적도 폭넓게 인정한다. 중기부는 소상공인의 배달·택배비 증빙자료 확보 용이성을 토대로 신청자 유형에 따라 순차적으로 신청 접수를 개시할 예정이다. 연내 차질 없는 지원을 목표로 '신속 지급'과 '확인 지급' 절차로 나눠 실시한다. 지원 대상자 유형별 신청 일정 [자료=중소벤처기업부] 2025.02.08 rang@newspim.com 먼저 신속 지급 절차는 약 8만개사를 대상으로 한다. 중기부는 온라인 신청과 증빙자료 등록 등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지원받을 수 있도록 신속 지급 절차를 마련했다. 중기부는 소상공인들의 자료 증빙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생각대로 ▲바로고 ▲부릉 등 6개 배달 플랫폼과 배달 대행사로부터 소상공인이 지출한 배달비 제공에 대한 협조를 받았다. 신속 지급 대상자 데이터베이스(DB)에 포함된 약 8만개사 소상공인들은 별도의 증빙자료 없이 사업자등록번호와 계좌번호 등의 정보만 입력하면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증빙 부담이 대폭 줄고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속 지급 대상자들은 오는 17일부터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 단계에서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할 시 신속 지급 대상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최초 신청 후 지원금이 30만원 미만이더라도 추가 신청 없이 올해 12월까지 배달비 실적이 확인되면 누적 금액 최대 30만원까지 차액을 지급한다. 신속 지급 대상자 DB에 포함되지 않은 확인 지급 대상자는 4월 중 신청할 수 있다. 확인 지급 대상자는 신속 지급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로 모든 택배와 배달 플랫폼, 배달대행사, 퀵서비스, 심부름센터 등을 이용해 직접 자료 증빙이 가능한 자를 말한다. 혹은 배달 플랫폼 또는 택배사를 이용하지 않고 소상공인 대표 또는 직원이 상품을 고객에게 직접 배달해 증빙이 어려운 경우를 일컫는다. 직접 자료 증빙이 가능한 소상공인은 지난해 1월 1일부터 올해 12월 31일까지 상품 판매를 위해 배달 또는 택배를 이용한 건에 대한 증빙자료를 시스템에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제출하면 된다. 증빙자료는 배달·택배비 사용 금액이 확인 가능한 전자세금계산서와 택배 운송장, 배달 정산 내역서 등이 있다. 직접 배달 소상공인은 특성상 실적에 대한 직접 자료증빙이 어려운 만큼 관련 협·단체 등 업계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합리적인 배달·택배비 지급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확인 지급 대상자에 해당하는 두 가지 경우 모두 소상공인이 직접 자료를 입력해야 한다. 중기부는 증빙 방안을 다음 달 말까지 마련해 4월부터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사업 신청은 전용 사이트인 '소상공인배달택배비지원.kr'이나 '소상공인24'를 통해 가능하다. 오는 17일 신속 지급 신청 시행 이후 첫 이틀간은 접속자 분산을 위해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기준으로 홀짝제를 적용한다. 세부적인 내용은 중기부 누리집 혹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누리집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소상공인 배달 택배비 지원 콜센터를 통해서도 안내받을 수 있다. 배달 택배비 지원사업 진행 절차 [자료=중소벤처기업부] 2025.02.08 rang@newspim.com rang@newspim.com 2025-02-09 12:00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